산업 생활

롯데百, SNS브랜드와 첫 콜라보 실험

2030 폭발적 인기 '으네드레스'와

상품기획·디자인서 직접 판매까지

업계 최초 전과정 파격적 협업

현대百은 SNS서 인지도 높은

신진디자이너 편집숍 5곳으로 확대

충성도 높은 SNS브랜드 직매입

집객효과 커 이익 제고방안 급부상

1015A19 롯백



장기화한 경기불황 속에 이커머스업체들의 할인공세로 사면초가에 빠진 백화점업계가 위기 돌파를 위한 새로운 실험에 나섰다. 해외 수입브랜드를 모아놓은 고가 제품 위주의 편집숍을 운영하던 기존 직매입 방식에서 벗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유명 브랜드와 손 잡고 상품 기획부터 디자인,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함께 진행한 것이다. 콧대 높던 백화점이 SNS 브랜드에 먼저 콜라보레이션을 제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SNS에서 입소문이 난 브랜드 ‘으네드레스’와 공동으로 기획한 ‘롯데백X으네드레스’ 콜라보레이션 모델을 7일 출시해 판매 첫날부터 흥행에 성공했다. 으네드레스는 인스타그램에서 오피스룩을 중심으로 20~30대 여성들에서 폭발적 인기를 끌고 있는 브랜드다. 롯데백화점은 직접 으네드레스를 찾아 상품 초기부터 공동기획에 착수했고, 그 결과물을 롯데백화점의 편집숍인 아미마켓에 직매입 형태로 입점했다. 지금까지 백화점들은 SNS 브랜드들에게는 한시적으로 팝업 매장 형태로 장소만 빌려주는 개념이었다. 하지만 이번 직매입의 경우 백화점이 상품 기획 단계부터 개발자로 참여했다. 해당 브랜드가 가진 여성성에 백화점은 휴가철을 맞아 소위 말하는 ‘인생샷’을 건질 수 있는 개념을 주문했고, 이렇게 나온 것이 ‘오마쥬켈리 원피스’다. 의상을 전공한 김혜민 롯데백화점 여성복 치프바이어는 새로운 형태의 직매입을 위해 직접 브랜드를 찾아 함께 머리를 맞댔다.


직매입 형태로 진행하는 만큼 백화점 입장에서는 이익률을 높일 수 있을뿐더러 SNS 브랜드의 최대 무기인 두터운 충성 고객층을 백화점 매장으로 이끌 수 있다. SNS 고객은 충성심을 무기로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불편함을 기꺼이 감수한다. 또 으네드레스는 자신들의 브랜드를 알릴 수 있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사례가 됐다. 과거에는 입점을 위해 백화점 상품기획자(MD)를 만나려고 줄을 서던 업체들을 골라 만나왔던 백화점이 몸을 낮추고 SNS 브랜드를 직접 찾아 나선 것은 그만큼 백화점업계의 절박한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백화점은 명품으로 근근이 매출은 유지하고 있지만 영업이익률은 최근 3%대까지 떨어졌다. 2010년 초반 만해도 13%에 달하던 이익률이 불과 10년도 안돼 곤두박질친 셈이다.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백화점 특유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선 최소한 10%의 이익률은 유지해야 하는데 이익률이 채 5%도 안되다 보니 백화점 입장에서는 생존을 위해 어떤 형태로든 직매입을 늘리고 새로운 시도를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러한 노력은 롯데백화점만의 얘기는 아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5월 무역센터점에 SNS로 인지도를 높인 신진 디자이너 편집숍 ‘유라이즈’를 처음 입점한 뒤 현재는 판교점 등 인기 점포 5곳에서 운영하고 있다. 매장규모는 점포별로 165㎡~397㎡(50평~120평)으로, 백화점의 일반 의류매장보다 3~8배 가량 크다. 또 1년에 2번씩 품평회를 거쳐 입점 브랜드를 선정하는 등 백화점에서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매장규모가 가장 큰 대구점의 경우 월 평균 4억5,000만원, 다른 점포도 월 평균 2억5,000만원에서 4억원의 매출을 기록 중이다. 일반적인 영 패션 브랜드의 월 평균 매출(2,000만~5,000만원)과 비교하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일각에서는 ‘임블리 사태’로 SNS 마케팅이 신뢰를 잃으면서 품질력을 담보하는 백화점을 통해 SNS 브랜드의 옥석 가리기에 들어갔다는 시각도 나온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일부 SNS 업체의 도덕성이 문제가 됐지만 SNS 업체 중에서도 작지만 자체적으로 디자인을 연구·개발하는 브랜드는 백화점 직매입으로 브랜드를 검증받을 수 있는 동시에 백화점의 니즈도 충족될 수 있는 사례”라며 “백화점의 직매입 방식이 점차 진화하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라고 말했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