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해만 9번째 과로사'...우체국 동료 집배원 이야기 들어보니

현직 집배원 "다쳐도 동료 생각에 눈치 보며 일해...인력충원 시급"

"52시간 시행 앞두고 분위기 어수선...초과근무 불가피한 구조"

지난해 국회서 관련 예산 삭감으로 집배원 증원 무산돼

우정노조, 내일 찬반 결과에 따라 내달 총파업 예고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우정노동조합이 20일 대전 한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배원 노동조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연합뉴스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우정노동조합이 20일 대전 한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집배원 노동조건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연합뉴스



최근 집배원 강 모(49) 씨의 갑작스러운 사망 사건으로 우체국 집배노동자의 과중한 업무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실제 현업에 종사하는 집배원들은 “당장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며 제도 개선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24일 전국우정노동조합(이하 우정노조)은 전국 245개 우체국과 지역 집배센터 등 총 300여 곳에서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총파업 찬반투표를 진행 중이다. 이번 총파업은 지난 19일 충남 당진우체국에서 일하는 강 모(49) 집배원이 자택 화장실에서 숨진 채 발견된 사건으로 촉발됐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따르면 강 씨의 부검 결과 사인이 뇌출혈로 밝혀져 장시간 노동과 스트레스로 인한 과로사라는 우정노조 측의 주장에 무게가 실렸다. 강 씨의 사망으로 올 들어 과로 때문에 숨진 것으로 추정되는 사망자가 벌써 9명에 이르렀으며 이에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고 강 모 집배원의 동료이자 현재 충남 당진우체국에서 일하는 집배원 A씨는 업무 환경에서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A씨는 “짧은 시간에 발전한 당진 같은 지역은 물량이 급증한 반면 인력 충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과로사 문제는 이 지역 뿐 아니라 우정사업본부 전체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는 “주 52시간 시행을 앞두고 집배원들이 52시간을 맞추면서 어떻게 일해야 하나 분위기가 어수선하다”며 “사명감과 책임감으로 일하고 있는데 결국 업무를 모두 끝내려면 초과근무를 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현재도 한 집배원이 다쳐서 일을 쉬게 되면 나머지 인원이 남은 업무를 모두 분담한다”며 “조속한 인력 충원과 우체국 업무 관련 지역 인력 평준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배원 인력 증원을 요구하며 시위하는 우정노조./연합뉴스집배원 인력 증원을 요구하며 시위하는 우정노조./연합뉴스


현직 집배원들과 우정노조 측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문제점은 과도한 업무 시간이다. ‘집배원 노동조건 개선기획추진단’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집배원들의 연간 노동시간은 하루 평균 11시간6분, 연평균 2,745시간으로 한국 임금노동자(2,052시간) 평균보다 693시간 더 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집배원들의 초과 근무시간 역시 1인당 주 평균 7.4시간을 기록했으며 주 평균 12시간을 초과 근무한 집배원은 2,488명에 달했다. 이에 집배원 노동조건 개선기획추진단은 지난해 10월, 2019년 정규직 집배원 2,000명 증원 및 토요일 배달 폐지 혹은 근무체계 이원화(월~금, 화~토)를 제안했고 우정사업본부 역시 이 같은 권고 내용에 합의했다.

하지만 국회에서 우정사업본부가 요청한 관련 예산이 삭감된 후 집배원 증원 계획은 전면 백지화됐다. 우정사업본부 역시 추가 예산 확보 문제를 이유로 인력 충원에 대한 합의 이행을 미루고 있다는 것이 노조 측 주장이다. 그 사이 최악의 업무 환경 속에서 사망한 집배원의 수가 늘어나는 등 악재가 거듭되고 있다. 우정노조는 기자회견을 통해 “집배원의 죽음의 행렬을 멈추려면 인력 증원과 완전한 주 5일제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우정노조는 이번 찬반 투표를 결과에 따라 오는 30일 파업출정식을 열고 다음 달 9일 전면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김민주 인턴기자 min0704@sedaily.com

김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