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환경부 '인천 붉은 수돗물' 검사현장 공개…"식수 수준 회복"

탁도 0.3NTU, 잔류염소 0.2mg/ℓ 기록

"붉은 수돗물 사태 발생 당시보다 상태 호전돼"

‘붉은 수돗물’ 피해지역서 진행된 수돗물 수질검사 현장./연합뉴스‘붉은 수돗물’ 피해지역서 진행된 수돗물 수질검사 현장./연합뉴스



붉은 수돗물 사태 정상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부 수돗물 안심지원단이 27일 피해지역에서 시행 중인 수돗물 수질검사 현장을 공개했다.

이날 환경부가 공개한 현장은 인천시 서구 청라동 A 아파트 관리사무소 화장실이다. 현장에 파견된 한국환경공단 상수도청 직원 2명은 수도꼭지를 틀고 수돗물을 5분간 50ℓ가량 흘려보낸 뒤 10㎖짜리 유리병 2개에 수돗물을 담았다. 이어 유리병을 각각 탁도 측정기와 잔류염소측정기에 넣은 뒤 수치를 측정했다.

최종 수치는 이 같은 과정을 3차례 반복한 뒤 나온 수치의 평균값으로 산출했다. 최종 측정결과 이곳 수돗물의 탁도는 기준치(0.5NTU)를 밑도는 0.3NTU로 나왔으며 잔류염소는 식수 기준(0.1∼4.0mg/ℓ)에 속하는 0.2mg/ℓ로 나왔다.


전날 이곳의 탁도 측정치는 0.09NYU였으며 잔류염소는 0.16mg/ℓ으로 더 낮았다. 공유훈 한국환경공단 상수도청 과장은 “오늘 측정치가 어제 측정치보다 다소 높은 것은 어제 측정했던 수도꼭지가 아닌 다른 수도꼭지에서 시료를 채취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탁도와 잔류염소 모두 식수 기준치로 나왔기 때문에 붉은 수돗물 사태가 발생한 당시보다는 많이 호전됐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곳에서 추가로 채취한 수돗물은 국립환경과학원에 보내 망간·철·탁도·증발잔류물 등 13개 항목을 정밀 분석해 공개할 방침이다.

‘붉은 수돗물’ 피해지역서 진행된 소화전 수돗물 검사./연합뉴스‘붉은 수돗물’ 피해지역서 진행된 소화전 수돗물 검사./연합뉴스


또한 인근 지역 소화전에서는 송배수관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토 작업’ 뒤 나오는 수돗물의 상태를 점검하는 현장이 공개됐다.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 직원과 수질 점검업체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수돗물 민원 기동반’은 인근 소화전 수문을 열고 물을 몇 분간 흘려보낸 뒤 나오는 수돗물을 맨눈으로 점검했고 그 결과 수돗물은 육안상 어떤 색도 띠지 않고 투명한 상태를 보였다.

미세먼지 마스크로 수문을 막고 20여분간 수돗물을 흘려보낸 결과 역시 붉은 수돗물 사태 발생 당시보다 확연히 깨끗해진 모습을 보였다. 최호영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 시설부 설비팀장은 “청라배수지와 연결된 송배수관로에서 시행한 이토 작업이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주민 민원이 사라질 때까지 이토 작업과 수돗물 점검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주 인턴기자 min0704@sedaily.com

김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