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신보, 지역 공공기관 평가서 ‘A’

유일하게 최고 등급 받아

경기복지재단 등 3곳 ‘C’

경기신용보증재단이 경기도 공공기관평가에서 유일하게 ‘A등급’을 받았다.

경기도는 도 출자·출연 산하기관 18곳에 대한 운영심의위원회를 열고 ‘2019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확정했다고 30일 밝혔다.


평가결과를 보면 A등급은 경기신용보증재단이 유일했으며, 경기도일자리재단 등 14개 기관이 B등급, 경기복지재단, 경기도의료원, 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등 3개 기관이 C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와 비교했을 때 A등급은 3개 기관에서 1개 기관으로 줄었고, B등급은 12개 기관에서 14개 기관으로 C등급 역시 2개 기관에서 3개 기관으로 늘었다. 이는 공공기관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올해 사회적 가치 평가 비중이 지난해 10.75점에서 올해 22점으로 2배 이상 늘었는데다가 시민·사회활동가가 경영평가위원으로 참여해 엄정하게 평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사회적 가치 평가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일자리 확대와 사회적 약자 배려, 노사 상생 및 친환경 경영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도는 평균평점이 지난해 79.3점보다 0.02점 소폭 상승한 79.32점으로 나타난 것은 공공기관 경영개선 수준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별도평가 대상이거나 도의 출자지분이 25% 미만인 경기테크노파크, 경기대진테크노파크, 경기도주식회사,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등 4개 기관장을 제외한 21명의 공공기관장 평가에서는 경기신용보증재단, 경기도일자리재단 등 4개 기관장이 A등급을 받았다. 경기도문화의전당 등 12개 기관장이 B등급을, 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경기도의료원 기관장이 C등급을 받았다. 도는 이번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토대로 B등급 이상인 기관과 기관장에게는 성과급을 지급하고, C등급 기관과 기관장에는 경고조치와 함께 경영개선 방안 마련 등 후속조치를 시행할 방침이다.

경기도내 공공기관은 모두 25곳이 있다. 이 가운데 정부의 별도 평가를 받는 경기도시공사, 경기관광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테크노파크, 대진테크노파크와 도의 출자지분이 25% 미만인 경기도주식회사, 지난해 7월 지방출자·출연기관으로 신규 지정·고시된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등 7개 기관은 이번 평가에서 제외됐다.

도는 내년도 경영평가 매뉴얼에 대한 개선작업을 추진한다. 주요 개선내용으로는 민선 7기 도정철학이 반영된 노동이사제 도입, 여성관리자 확대, 공공기관의 인권 존중 문화 확산을 위한 인권경영, 안전문화 정착노력, 국가유공자 의무고용 등이 새롭게 추가된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