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아마존 등 美 IT 기업·日 전자업체도 '차이나 엑소더스'

블룸버그통신블룸버그통신



아마존을 비롯한 미국 정보기술(IT) 업체와 일본·대만 전자업체의 ‘탈(脫)중국’이 가속화하고 있다.

3일(현지시간) 닛케이아시안리뷰 등에 따르면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델, HP, 소니, 닌텐도 등이 상당한 규모의 생산설비를 중국으로부터 옮기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카드를 꺼내 들자 생산기지를 중국이 아닌 곳으로 옮겨 관세 위험을 해소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닛케이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들 회사가 전자제품 생산을 위한 새 후보지로 다른 여러 아시아 국가들을 살펴보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구글과 아마존, MS, 소니, 닌텐도는 특히 비디오게임 콘솔과 스마트 스피커 부문 생산을 가장 걱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마존은 전자책 리더 ‘킨들’과 스마트 스피커 ‘에코’의 생산을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또 MS는 엑스박스와 스마트 스피커 ‘코타나’ 등의 생산을 태국이나 인도네시아로 옮기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닛케이는 구글 역시 ‘구글 홈’의 생산기지 이전을 고려 중이라고 전했다. 다만 구체적인 이전 후보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세계 1·3위 PC 제조업체인 HP와 델은 노트북 컴퓨터가 주요 이전 대상이다. 두 업체는 지난해 전 세계 시장의 40%를 차지했는데 노트북 생산의 최대 30%를 중국 밖으로 옮기려 하고 있다. 연간 1억 6,000만 대가 출시되는 노트북은 스마트폰(14억 대)에 이어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리는 전자제품이다. HP는 20∼30%의 생산을 태국이나 대만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한 소식통은 이런 변화가 이르면 7월 말부터 가시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델은 이미 대만과 베트남, 필리핀에서 노트북 시험생산을 시작했다. 닛케이는 “이번 조치는 중국의 수십 년 성장을 이끌어온 전자제품 수출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