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17년前 총회 통과했는데…'해고자 위로금 합의안' 뒤집자는 현대重노조

일부 "번복은 역사부정" 반발

현대중공업 노조가 17년 전 가결됐던 해고자 문제를 다시 총회에 부치기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 노조 차원에서 일종의 ‘역사 바로 세우기’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지만 일부 조합원들은 이미 결정된 것을 번복하는 일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5일 현대중공업 노조에 따르면 노조는 오는 15일부터 17일까지 ‘해고자 정리 역사 바로 세우기 총회’를 열고 지난 2002년 노조 총회에서 가결된 ‘해고자 문제 정리를 위한 합의서’ 청산 대상 결정 취소안을 투표에 부친다. 이 합의서는 불법 파업 혐의 등으로 해고된 조합원 10여명이 해고 무효소송을 진행하자 노사는 이들에게 위로금을 지급하고 해고를 인정하는 안을 마련했으며 노조 찬반 투표에서 가결된 바 있다.


노조는 당시 노사가 합의하고 노조 총회를 통해 가결됐지만, 합의안 내용이 총회가 임박해 공개됐고 해고 당사자와 협의를 거치지 않았다는 이유를 들어 다시 총회에 부친다는 입장이다. 이 안건이 이번 총회에서 가결되면 노조는 회사 법인분할(물적분할) 반대·무효 투쟁 과정에서 벌어진 조합원 해고와 징계에 대응하는 데 내부적 단결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관련기사



하지만 일부 조합원은 이를 두고 “집행부의 독단적 결정이 아니라 민주적 조합원 총회를 통해 내린 결정을 번복하는 것은 노조 역사를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산적한 현안을 외면하고 17년 전 해고자 문제에 연연하는 걸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도 나온다. 이에 대해 노조 집행부는 “투쟁 과정에서 해고된 조합원을 노조가 지킨다는 상징적 의미가 강하다”며 “해고자 복직 등을 논의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회사 측은 올 5월 열렸던 분할 주총 전후로 노조 파업에 상습 참여한 조합원 330명에 대한 징계 절차를 진행 중이다. 당시 관리자 또는 파업 미참여 조합원을 폭행한 조합원 3명은 해고 조처한 상태다.
/울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