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한국 GDP 순위 12위…PPP(구매력평가) 기준으론 33위

한국, 지난해 이어 12위 유지...205개국 중 최상위권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세계 12위를 유지했다. 7일 세계은행(WB)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명목 GDP는 1조6,194억달러로 전 세계 205개국 중 12위를 차지했다.

세계은행은 직전 3년간 평균 환율을 적용(아틀라스 방식)해 각국의 GDP를 미 달러화로 환산, 발표한다. 한국의 GDP 순위는 2009∼2013년 14위에서 2014년 13위, 2015∼2016년 11위까지 오른 바 있다. 그러다 2017년 12위로 한 계단 내려왔다.

지난해 경제 규모 1위는 미국으로 명목 GDP가 20조4,941억달러에 달했다. 이어 중국(13조6,082억달러), 일본(4조9,709억달러), 독일(3조9,968억달러), 영국(2조8,252억달러) 순이었다. 프랑스(2조7,775억달러), 인도(2조7,263억달러), 이탈리아(2조739억달러), 브라질(1조8,686억달러), 캐나다(1조7,93억달러)가 6∼10위에 각각 올랐다. 러시아가 1조6,576억달러로 한국보다 높은 순위인 11위에 올랐다.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 순위는 세계 30위권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지난해 3만600달러로 192개국 중 30위를 차지했다. 1인당 GNI는 국민들의 생활 수준과 밀접한 지표다. 이는 2017년 31위(2만8,380달러)에서 한 계단 오른 데다 1인당 소득이 3만불을 넘겼다.

관련기사





1인당 GNI는 스위스(8만3,580달러)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노르웨이(8만790달러), 영국 자치령인 맨섬(8만340달러)이 뒤를 이었다. 맨섬, 바하마, 키프로스 등은 조세회피처라는 특성 때문에 1인당 국민소득이 높게 집계된다.

다만 실제 국민들의 구매력을 평가하는 구매력평가(PPP) 기준 한국의 1인당 GNI는 4만450달러로 2017년 31위에서 두 계단 떨어진 33위였다. 지난해 한국보다 순위가 낮았던 스페인(4만840달러), 이스라엘(4만800달러)이 각각 31위, 32위로 올라섰다.

구매력평가 기준 지표는 나라마다 다른 물가 수준을 반영해 측정한다. 한국은 지난해 다른 나라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PPP 기준 순위가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PPP 기준 1인당 GNI 1위는 카타르(12만4,130달러), 2위는 마카오(11만2,480달러), 3위는 싱가포르(9만4,500달러)였다.

강신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