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밥그릇 수거' 고양이 개체수 조절 나선 지자체...찬반 엇갈려

인천 계양산에 고양이 급증…계양구, 중성화 사업에도 나서

"주변 환경 지저분해져" vs "과도한 조치"

인천시 계양산 정상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고양이들의 모습. /인스타그램 캡처인천시 계양산 정상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고양이들의 모습. /인스타그램 캡처



인천시 계양구가 인천 계양산에 서식하는 고양이 개체 수 조절에 나선다.

인천시 계양구는 25일 계양산 등산로 인근에 있는 고양이 집과 먹이 그릇 등을 수거하고 있다고 밝혔다. 계양구는 또한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지 말 것을 당부하는 현수막을 등산로에 내걸었으며 향후 고양이 개체 수를 조절하기 위해 등산로 곳곳에 포획 틀을 설치해 중성화 사업(TNR)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계양산에 서식하는 고양이가 늘어난 데 따른 조치다. 계양구는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계양산과 주변 지역에 서식하는 고양이 수가 150여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계양산 정상 부근에 등산객이 주는 먹이를 받아먹으려는 고양이 수십마리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이에 계양구는 생태계에 미칠 악영향을 막고자 이 같은 대응에 나섰다. 앞서 한국야생동물연구소는 환경부의 의뢰를 받아 ‘들고양이 서식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를 진행한 결과 과도한 수의 고양이 개체군이 야생으로 유입되거나 번식될 경우 보호야생동물에 피해가 클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계양구 환경과 관계자는 “계양산은 한남정맥에 속해 생태계 등급이 높은 지역”이라며 “천연기념물이나 법정 보호종이 계양산에서 서식하면서 먹이 활동을 하는데 고양이 개체 수가 높아져 대응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 주민들은 계양산에 고양이가 집단서식하면서 등산객들에게 공포심을 주거나 주변 환경이 지저분해지는 만큼 고양이 개체 수 조절에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더욱 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민원도 나온다.

반면 동물보호단체 등은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는 것 자체를 막는 지자체의 조치가 과도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한성용 한국야생동물연구소 소장은 “호주에서는 생태계 피해 때문에 고양이 수백만 마리를 없앨 계획을 하면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고양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만큼 어느 정도 개체 수를 유지할지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24일 환경부는 국립공원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들고양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자 새보호목도리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목도리를 착용한 고양이의 모습. /환경부 제공24일 환경부는 국립공원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들고양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자 새보호목도리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목도리를 착용한 고양이의 모습. /환경부 제공


한편 환경부는 전날인 24일 국립공원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들고양이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그 일환으로 기존 정소와 난소를 제거하는 방식(TNR)에서 정소와 난소를 그대로 두고 정관과 자궁의 통로를 차단하는 방식(TVHR)으로 새로운 중성화 수술 방법을 적용한다. 환경부는 이러한 조치가 들고양이의 영역 확보 본능과 생식 본능을 계속 가지고 있게끔 해 서식 밀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고양이에게 알록달록한 목도리를 씌워 새 등의 동물이 고양이가 접근한다는 점을 잘 알아차리고 도망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