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위기 넘어라” 기업이 뛴다] LG, 8K 올레드TV 등 초프리미엄군 확대…'전기차 배터리 1위' 수성

LG전자가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만든 폭포를 전시하고 있다. /사진제공=LGLG전자가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만든 폭포를 전시하고 있다. /사진제공=LG




LG전자가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만든 폭포를 전시하고 있다. /사진제공=LGLG전자가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만든 폭포를 전시하고 있다. /사진제공=LG




LG그룹은 하반기에도 전자, 화학, 통신서비스 등 주력 사업군을 중심으로 시장 주도권을 확대하고 자동차부품, 인공지능(AI), 로봇, 차세대 디스플레이, 5세대(5G) 이동통신 등 성장엔진 육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LG전자는 올레드 TV, 프리미엄 가전 등 고부가 제품 경쟁력을 앞세워 수익성을 제고하고 자동차부품, AI, 로봇 등 성장 사업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본격적인 성과를 창출한다. 독자 개발한 ‘2세대 인공지능 알파9’ 프로세서를 적용한 올레드 TV를 확대하고 8K 올레드 TV 등 초프리미엄 제품을 선보여 글로벌 TV 시장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세이프가드 발동 등으로 관세 장벽이 높아진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테네시 주에 건설한 세탁기 공장은 지난해 12월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가전의 메카인 창원 공장을 스마트공장으로 조성하기 위해 2023년 완공을 목표로 총 6,000억원을 투자하는 계획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LG전자는 프리미엄 헤드램프 선도기업 ZKW 인수 후 자동차부품 사업의 시너지 강화에 더욱 집중하고 가전, 자율주행, 스마트팩토리 등에 AI 기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LG디스플레이는 올 하반기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을 확대하고 중소형 플라스틱 OLED 사업의 근본적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차별화된 상업용 및 자동차용 제품으로 새로운 시장을 발굴해 나간다. 특히 대형 OLED의 기술 진입장벽이 높아 한국을 제외한 다른 업체들이 양산단계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OLED로 중국과 같은 후발주자들과의 기술 격차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다.

LG전자가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88인치 8K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제공=LGLG전자가 지난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88인치 8K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제공=LG


이를 위해 LG디스플레이는 올 하반기부터 월 6만장(유리원판 투입 기준) 규모의 8.5세대 광저우 OLED 공장을 본격 가동한다. 광저우 공장이 가동될 경우 월 7만장 규모의 생산량을 월 13만장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이를 통해 규모의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원가 경쟁력 및 생산라인 운영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전략 고객과의 협업을 강화해 하반기 88인치 8K OLED 등 초대형 프리미엄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는 한편 월페이퍼와 크리스탈사운드올레드(CSO), 롤러블, 투명 디스플레이 등 차별화된 제품으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LG이노텍은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광학솔루션, 차량 전장, 기판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소재부품 시장을 주도해 나간다. 특히 5G 및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패러다임 변화를 새로운 사업 기회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광학솔루션 사업에서 글로벌 일등 지위를 확고히 하는 동시에 차량 전장 사업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판 소재 사업은 5G, 폴더블폰, OLED 확대에 따른 초슬림, 고성능, 고집적화된 첨단 기판 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지속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LG화학은 석유화학, 전지, 첨단소재 등 기존 사업의 역량 강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와 선제적인 연구개발(R&D)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한다. 특히 석유화학 분야 고부가 제품의 비중을 높여 폴리올레핀, 고기능 ABS, 차세대 고흡수성 수지, 친환경 합성고무 등 고부가 제품의 매출을 늘려갈 예정이다. 자동차전지 사업에서 3세대 전기차(500㎞ 이상) 중심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를 적극 공략해 확실한 1위를 수성한다는 전략이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LG화학의 전기차 배터리 수주 잔액은 110조원을 돌파했다.

관련기사



LG화학은 이와 함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업을 중심으로 자동차 관련 고강도 경량화 소재 사업을 선도하고 OLED 소재 사업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해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급변하는 디스플레이 소재 시장을 선점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

LG생활건강은 궁중화장품 ‘후’와 자연·발효 화장품 브랜드 ‘숨’ 등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를 앞세워 해외시장 공략을 가속화 한다. 지난해 국내 화장품 단일 브랜드 최초로 매출 2조원을 돌파한 ‘후’는 △왕실의 독특한 궁중처방을 바탕으로 한 뛰어난 품질 △궁중 스토리를 담은 화려한 디자인 △왕후의 궁중문화 럭셔리 마케팅으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과 동남아 지역에서 매장을 지속 확대하고 현지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으로 브랜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자연 발효 화장품 ‘숨’은 2016년 4월 중국에 진출한 이래 주요도시 최고급 백화점을 중심으로 9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며 빠른 속도로 브랜드를 확산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밀레니얼 세대에서 손꼽히는 패션, 뷰티 아이콘이자 아시아의 가장 아름다운 얼굴이라고 불리는 배우이자 모델 ‘구리나자’를 글로벌 모델로 선정해 해외 시장에서 위상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선도적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고객 기대를 뛰어넘는 서비스 제공 △생활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마케팅 등 3대 핵심 가치를 통해 5G 시장 성장을 주도한다. 특히 5G 시대가 본격 시작된 올해는 5G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에 집중해 수도권을 비롯해 전국 광역시와 85개시 지역 중심으로 연내 8만개의 기지국을 촘촘히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5G 특성에 가장 잘 부합하는 U+AR, U+VR, U+프로야구, U+골프, U+아이돌라이브, U+게임 6대 핵심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고객 일상의 편의를 증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LTE에서도 인기를 끌었던 U+프로야구, U+골프, 아이돌라이브는 5G향으로 업그레이드해 새롭게 선보였다.

5G 스마트폰이 출시된 지난 4월에는 ‘5G 콘텐츠 확대 방안’을 발표하고 연말까지 5G 콘텐츠를 1만5,000개 이상으로 대폭 확대한다는 목표 아래 국내외 최고 기업들과 제휴해 전용 콘텐츠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