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시, 일본 수출규제에 비상체제 돌입

울산시는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등 규제 품목을 확대하자 대응책 마련에 들어갔다.

울산시는 2일 행정부시장실에서 ‘일본 수출규제 대응 비상점검 회의’를 열었다. 회의는 울산시를 비롯해 울산테크노파크, 울산상공회의소, 울산경제진흥원 등이 참여했다.

울산시는 일본 수출 규제 대응을 위해 지난달 23일 구성한 비상대책반의 운영과 국산화 우선 품목 선정·개발 지원, 수입선 다변화 운송비 지원, 첨단 소재부품 지원센터 구축 방안 등을 점검했다.


울산의 3대 주력산업 가운데 먼저 석유화학산업은 자일렌, 톨루엔 등 합성수지 기초 원료가 다수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나 국내 생산이 충분하고, 일본 아닌 다른 곳에서도 구할 수 있어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정밀화학 분야에서는 첨가제, 촉매제 등 일부 핵심소재는 일본이 공급하고 있어 영향이 있을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자동차 산업은 90% 이상 국산화 돼 기업체에서는 큰 영향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부품소재 생산에 들어가는 첨가제 등은 일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영향이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기타 자동차 및 부품소재 생산설비, 자동화 설비, 정밀제작기계 등이 일본 의존도가 높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조선산업은 기자재 국산화율이 높아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기업결합심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는 일본 수출 규제가 확대되고, 장기화하면 결국 어느 정도 파장이 미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중장기 대응책도 강구하고 있다. 시는 부품소재 국산화를 위해 소재개발을 할 수 있는 기반구축 사업과 연구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지역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