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2일 발사체도 ‘신형방사포’로 발표…軍분석과 또 엇갈려

“조종방사탄의 고도억제수평비행성능·명중성 등 만족스럽게 확증”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가운데)이 지난 2일 오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 발사체 관련 대응 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노규덕 안보전략비서관(왼쪽)과 함께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정의용 국가안보실장(가운데)이 지난 2일 오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 발사체 관련 대응 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노규덕 안보전략비서관(왼쪽)과 함께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7월31일에 이어 지난 2일 쏜 발사체도 신형대구경조종방사포라고 밝혔다. 한미 군 당국이 최근 두차례 북한이 시험사격한 발사체가 단거리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가운데 북한은 이를 새로 개발한 방사포라고 발표하고 있어 발사체 정체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북한 중앙통신은 “김정은 동지께서 8월 2일 새벽 새로 개발한 대구경조종방사포의 시험사격을 또다시 지도하셨다”고 밝혔다.


중앙통신은 “시험사격은 대구경조종방사탄의 고도억제 비행성능과 궤도조종능력 및 목표 명중성을 검열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며 “시험사격을 통해 목적한 조종방사탄의 고도억제 수평비행성능과 궤도변칙 능력, 목표 명중성, 전투부폭발 위력이 만족스럽게 확증되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이번 발사와 관련,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함경남도 영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미상 단거리 발사체를 2회 발사했다”고 지난 2일 발표했다. 군 당국은 이들 발사체가 탄도미사일이라고 단정적으로 발표하진 않았지만, 지난달 31일의 발사체와 유사한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봤다. 군 당국은 2일 북한 발사체의 비행속도를 마하 6.9로 분석했는데 이는 탄도미사일과 유사하며 방사포로 보기에는 너무 빠른 속도라는 게 군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군 당국이 지난달 31일의 발사체를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규정한데 이어 지난 2일의 발사체도 그런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 가운데, 북한은 두번 다 ‘신형대구경조종방사포’ 발사였다고 발표함에 따라 북한 발사체의 제원과, 한국군 정보 수집 및 판단의 정확성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