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국민 10명중 3명 반려동물 보유…경기硏, 반려동물 등록세 공론화해야

‘한국인 10명 중 3명이 반려동물과 함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회적 비용이 늘어나고 있어 반려동물 등록세를 공론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4일 ‘반려동물 관련 정책의 쟁점과 대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현재 반려동물 정책은 산업 촉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반려동물의 공격, 층간소음 규제 등 반려동물과 그 소유주에 대한 규범은 미흡해 사회적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반려동물 구매는 대부분 지인이나 펫샵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물보호시설 등을 통한 입양률은 매우 낮다.


분양 시 교육이나 사육환경에 대한 검토, 책임성 고지 등이 없고 반려동물 등록제도가 활성화되지 않아 유기동물 수는 지난 2014년 이후 해마다 늘어 지난해 12만1,077마리로 집계됐다. 전국 약 300개에 달하는 유기동물보호센터의 운영비용은 연간 200억원으로 추산되는 등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관련기사



생활 수준 향상과 고령화,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반려동물 보유 가구 수는 증가 추세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가구의 29.5%인 511만 가구가 반려동물과 함께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은 약 630만 마리로 추정하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경기도 전체 가구의 28.1%인 150만 가구로 추정돼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다.

반려동물 산업 규모도 꾸준히 증가해 올해 현재 약 3조원을 웃돌고 있으며, 오는 2027년에는 2배인 6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박효민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미국의 일부 주나 독일에서는 펫샵에서의 반려동물의 대량거래를 금지하고 있다”며 “한국도 장기적으로는 펫샵을 통한 반려동물 구매를 금지하고, 보호동물 분양시스템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나친 시장 의존도를 축소하고 반려동물 소유주의 책임성을 높인다면 동물 학대와 유기와 같은 사회문제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반려동물과 소유주를 위한 각종 지원정책이 시행되고, 반려동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려동물 소유에 대한 사회적 부담은 거의 없다”면서 “각 지자체에서 반려동물 등록세를 도입해 지자체 단위에서 반려동물 관련 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