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일갈등 고조 속 항일운동가 최재형 선생 흉상 선다

12일 러시아 우스리스크 최재형기념관 경내 기념비·흉상 설치

순국100주년 추모위 “연해주 항일 독립운동 대표 유적지 자리매김”

최재형선생 기념비 모형도/최재형순국100주년추모위원회최재형선생 기념비 모형도/최재형순국100주년추모위원회



한일 갈등이 악화하는 가운데 일제강점기 당시 러시아 연해주에서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한 최재형 기념비가 순국 100주년을 앞두고 현지에 선다. 기념비 한쪽엔 최재형 흉상도 함께 세운다.

올해 4월 국회에서 출범한 최재형순국100주년추모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러시아 우수리스크에서 ‘최재형 기념비 제막식’을 연다고 5일 밝혔다. 최재형의 항일 독립운동을 기념하는 비석과 흉상은 최재형기념관 경내에 설치된다. 최재형기념관은 그의 고택을 해외 독립운동기념관으로 새로 단장한 것이다.


기념비는 한반도 국토 모양 비석으로 만들고, 태극기 문양을 또렷이 새겨 그가 생전 열망한 대한민국 광복의 형상을 표현했다. 추모위 측은 “러시아 항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기념비가 최재형기념관 경내에 설치돼 의미가 크다”며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기념비와 함께 연해주 항일 독립운동의 대표 유적지로 자리매김하게 됐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제막식에는 최재형순국100주년추모위원회 공동대표인 소강석 한민족평화나눔재단 이사장, 안민석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김니꼴라이 고려인민족문화자치회 회장, 최재형 선생 후손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안민석 위원장의 개회사와 소강석 이사장 축사, 문영숙 이사장의 건립문 낭독 등에 이어 최재형 손자인 러시아독립유공자후손협회 최발렌틴 회장이 후손을 대표해 답사에 나선다. 박요셉 추모위 사무총장의 기념비 제막 경과보고 후에는 추모 공연과 기념비 제막, 헌화가 이어진다.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로 불리는 최재형은 1920년 일본군에 체포돼 순국하기까지 항일 독립운동과 한인 동포 지원에 헌신적으로 활동한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군납사업을 하며 쌓은 부를 고스란히 항일 독립운동과 한인 동포 지원에서 썼으며, 특히 한인 동포 후손 교육에 큰 힘을 쏟았다. 1909년 안중근의 하얼빈 의거를 지원했으며 1920년 4월 5일 일본군에 검거돼 이틀 뒤 총살을 당해 순국했다. 아직도 그의 시신과 묘지는 찾지 못했다. 정부는 그의 사후 42년 만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3급)을 추서했다.
/정민수 인턴기자 minsoojeong@sedaily.com

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