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김상조 "5대 그룹 총수 만난다…日 수출규제 이후 수시로 연락"

삼성·현대차·SK 등 5대그룹 부회장급 인사 만날 듯

문 대통령이 직접 기업 총수 만난다는 관측도

정부, 시장·기업 불안감 최소화 노력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지난 7월14일 오후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과 관련한 청와대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지난 7월14일 오후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과 관련한 청와대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오는 8일을 전후로 삼성·현대차·SK·LG·롯데 등 5대 그룹 CEO를 만나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고 5일 밝혔다. 지난 2일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며 추가 경제보복을 감행하자 청와대와 정부도 역시 기업과의 소통을 늘리며 대책 마련에 힘쓰는 모양새다.

김 실장은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 주요 기업과의 상시적 소통채널을 열고 유지하면서 협의를 하겠다고 이미 말씀드렸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실장은 5대 그룹의 부회장급 인사를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 날짜로는 8일이 거론되고 있지만 김 실장은 “날짜는 유동적”이라고 설명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조치 대응을 위한 ‘청와대 상황반장’을 맡고 있는 김 실장은 지난 6월30일 일본 산케이 신문이 일본 정부가 반도체 핵심소재에 대한 대(對)한국 수출규제에 나설 것이라고 보도한 이후부터 5대 그룹 부회장과 상시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을 뿐 5대 그룹 부회장들과 이미 다 만났고 전화도 수시로 한다”며 “기업과 상시적으로 소통 채널을 열고 협의를 해왔으며, 앞으로도 그렇게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청와대에서는 5대 그룹 측에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이 2일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며 정부도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점 등을 미리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김 실장이 5대 그룹 인사들과의 회동을 추진함에 따라 일각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기업 총수를 만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문 대통령은 일본이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 조치를 시행하자 지난달 10일 30대 기업 총수를 청와대에 초청해 “전례 없는 비상상황인 만큼 무엇보다 정부와 기업이 상시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미관 비상대응체제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청와대가 기업인과의 만남을 연이어 추진하는 배경에은 이번 한일 무역갈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 간의 소통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판단이 깔려있다. 이의 일환으로 정부는 일본 제품 수입업체 및 수요업체 현황을 기업별로 나눠 파악하고 있을 뿐 아니라 각 기업에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검토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한 맞대응과는 별개로 정부는 이번 사태로 인해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측면을 우려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일본이 한국에 대해 경제보복을 가하는 진짜 이유를 한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우리 국민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기 위한 의도로 해석하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로 지난달 4일 일본이 1차 수출 규제 조치를 취한 이후 2~4주 이내에 3개 품목에 대한 재고량이 소진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지만 현실화되지는 않았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일본의 이 같은 조치로 우리 기업의 생산라인이 멈춰서는 일이 없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약 1천200개(품목)의 수도꼭지가 한꺼번에 잠길 수 있다고 (보도하는 것은) 명백한 오보다. 너무 과장하지 말았으면 좋겠다”고 언론에 당부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