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토종中企 핵심기술 개발 돕는다"...KAIST 교수 100여명 의기투합

日 무역보복 대응 차원

기술 자문단 본격 가동

최성율 KAIST 기술자문단장이 5일 핵심 소재 및 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국내 기업의 상담을 해주고 있다. /사진제공=KAIST최성율 KAIST 기술자문단장이 5일 핵심 소재 및 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국내 기업의 상담을 해주고 있다. /사진제공=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전·현직 교수 100여명이 토종 중소·중견기업들의 핵심 소재 및 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 지원에 나섰다. 최근 일본이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 국가에서 제외하는 등 무역보복을 단행한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KAIST는 지난 주말 비상간부회의를 열고 이 같은 규모로 기술자문단을 꾸리기로 하고 5일 본격 가동했다고 밝혔다. 정식명칭은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이다. 기술자문을 받기 희망하는 기업이라면 기술자문단 전담접수처에 전화나 이메일로 문의하면 된다.

관련기사



최성율 KAIST 공과대학 부학장이 단장을 맡았다. 각 기술분과별 팀장은 첨단소재분과 이혁모 신소재공학과장, 화학·생물분과 이영민 화학과장, 화공·장비분과 이재우 생명화학공학과장, 전자·컴퓨터분과 문재균 전기 및 전자공학부장, 기계·항공분과 이두용 기계공학과장이다.

자문단은 반도체와 에너지, 자동차를 비롯해 한국의 주요 산업분야에서 수입에 의존해온 원천기술 개발을 도울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본의 수출규제로 영향을 받게 될 1,194개 품목중 159개 소재 및 부품 관련 기술에 대한 자문을 수행하게 된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한일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국가적 위기상황 극복을 돕기 위해 자문단을 출범했다”며 “자문위원 중 담당 교수를 지정해 기업 현황 분석, 연구개발 계획 수립·참여를 통한 문제해결에 이르기까지 밀착 지원하겠다”고 다짐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