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시간 걸리겠지만 日대응 기술확보 낙관”

최성율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장

日 2차 경제보복 강행 직후 꾸려

출범 이틀만에 10여건 자문 접수

어떤 기술 시급한지 파악이 중요

단기간내 기술문제 해결 어렵지만

국산화 가능...비관적일 필요없어




“연구개발(R&D)이 원래 ‘안되는 것을 되게 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일본의 수출규제로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의 기술확보 지원에 노력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지난 5일 본격 가동에 돌입한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을 이끄는 최성율(사진) 단장 겸 공과대학 부학장은 6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시간이 다소 걸리겠지만 꼭 필요한 핵심기술은 산학협력을 통해 개발해야 하고, 또 개발할 수 있다고 본다”며 이같이 밝혔다.

KAIST 기술자문단은 일본이 우리나라를 수출심사 화이트리스트 국가에서 제외하는 2차 경제보복을 단행한 직후 국내 기업들의 핵심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꾸려졌다. 자문단장과 첨단소재·화학생물·화공장비·전자컴퓨터·기계항공 등 기술분과장 5명, 그리고 명예·현직 교수 등 100여명의 자문위원이 자문단에 합류했다.



최 단장은 “그동안 산학협력체는 계속 존재했지만 이처럼 KAIST에서 대규모 자문단이 꾸려진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자문단은 전담접수처 전화나 e메일로 기술자문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분과를 통해 지정된 담당 교수와 함께 문제 해결에 나선다. 자문단 가동 후 이틀 만에 벌써 10여건의 자문 요청이 접수됐다고 소개한 최 단장은 “기업과 세부기술을 밝힐 수는 없지만 소재·화학 등 2건은 이미 담당 분과장이 기업과 협의 일정을 잡는 등 구체적인 활동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자문 대상은 일본의 수출규제로 영향을 받게 될 1,194개 품목 중 159개 소재 및 부품 관련 기술로 정부가 중점관리 대상으로 삼은 품목 수와 같다.

관련기사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그동안 반도체 소자 분야에서 굵직굵직한 연구성과를 낸 최 단장은 “기술개발 분야를 정하는 것은 기업의 몫”이라며 “어떤 기술이 시급한지 먼저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기술자문단은 먼저 중소기업 개발 과정의 기술적 장애, 애로 사항을 파악하고 조언하는 것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그는 “학교와 기업의 연구개발은 다르고 거리가 있는 게 사실”이라며 “자문단은 학교 연구를 통한 기술 성과를 알려주고 기업이 어떤 기술에 집중해야 할지 산업 전체 동향과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단장은 일본의 경제보복을 무력화할 정도로 단기간에 기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비관적일 필요는 없다고 강조한다. 지난달 일본이 수출을 규제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주요 소재 3종(초고순도 불화수소·포토레지스트·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해서는 “주요 소재를 테스트하고 양산하는 데 시간이 필요할 뿐”이라며 “기업들은 이미 이들 소재에 대해 많은 정보와 기술을 쌓고 시작하는 것인 만큼 국산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산학협력 성과나 일본의 규제 변화 등에 따라 중장기적 운영방안도 나올 예정이다. 최 단장은 “1~3년 단위의 기존 산학과제와는 분명 다른 협력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금은 시급한 현장 자문에 집중하겠지만 이후에는 미래기술을 논의하는 중장기 산학협력 모델로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