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모비스, 상용차에 전방충돌방지기술 적용

국내 생산 트럭 최초 자체 개발 기술 담아

9월 생산 국내 상용차부터 관련 기술 적용

앞 차와 적정 거리 계산 위험 땐 속도 조절

현대모비스 연구원이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한 독자 센서를 상용 테스트카에서 시험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자체 기술로 독자 개발한 중거리 전방 레이더와 전방 카메라 센서를 국내 상용차에 오는 9월부터 양산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현대모비스 연구원이 영상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한 독자 센서를 상용 테스트카에서 시험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자체 기술로 독자 개발한 중거리 전방 레이더와 전방 카메라 센서를 국내 상용차에 오는 9월부터 양산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012330)가 국내 생산 트럭에 자율주행 최첨단 센서를 적용한다. 트럭 등 상용차에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이 도입되면 사고 예방은 물론 운전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어 근로 환경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자체 기술로 독자 개발한 중거리 전방 레이더와 전방 카메라 센서를 국내 상용차에 오는 9월부터 양산 공급한다고 13일 밝혔다.


상용차에 쓰이는 레이더와 카메라 센서 모두 주요 하드웨어와 핵심 알고리즘을 현대모비스가 자체 개발했다. 현대모비스가 공급하는 독자 센서는 레이더와 카메라 센서 간 데이터 융합을 통해 전방충돌방지보조(FCA) 기능을 구현한다. 앞차와 적정 거리를 계산해 위험 상황에서 자동으로 차의 속도를 줄여준다. 이 가운데 상용차에 공급되는 전방 카메라 센서는 다중 연산 장치를 적용해 고해상 영상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분석하는 정보 처리 능력을 확보했다. 중거리 전방 레이더도 상용차 제품 중 최장거리 수준인 170m의 탐지 거리를 가지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향후 세계 시장에서 상용차 능동안전시스템이 의무화되는 만큼 이번에 적용하는 상용차용 ADAS의 글로벌 수주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상용차 브랜드들도 대형 트럭의 물동량이 큰 미국과 중국 시장 등을 목적으로 ‘군집 주행’ 등 차세대 화물 트럭에 적용하기 위한 첨단 무인 운송시스템 개발 중이다. 이성훈 차량부품영업사업부장 상무는 “승용뿐만 아니라 상용 부문에서도 안전편의 기술과 첨단자율주행시스템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기술 내재화를 통해 신뢰성과 가격을 모두 만족시키는 전략으로 글로벌 상용차 수주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모비스 연구원이 현대모비스가 독자 개발한 상용차용 센서 카메라(왼쪽)와 레이더를 들어보이고 있다./사진제공=현대모비스현대모비스 연구원이 현대모비스가 독자 개발한 상용차용 센서 카메라(왼쪽)와 레이더를 들어보이고 있다./사진제공=현대모비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