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강경화·고노 내주 베이징서 만난다

20~22일 한중일 외교장관회의

양국 외교적 협의 계기될지 주목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2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방콕=연합뉴스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2일 오전(현지시간) 태국 방콕 센타라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외교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방콕=연합뉴스



지난 2016년 8월 8차 회의 이후 중단됐던 한중일 3국 외교장관회의가 오는 20~22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일 외교수장 간 만남이 이뤄질 경우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한일갈등을 해소하는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특히 대일 유화 제스처가 담긴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메시지 이후 한일 외교장관이 한자리에 서게 되는 만큼 한일 간 외교 소통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외교부는 16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이 참가하는 3국 외교장관회의가 개최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외교 수장들은 회의에서 3국 협력 현황 평가 및 발전 방향과 주요 지역 및 국제 정세 등을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한일갈등 문제와 북한의 연쇄 탄도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대응 방안 및 한반도 비핵화 실현 방안 등 한국의 국익과 직결된 이슈들도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일본의 한국 화이트리스트 배제 집행 직전에 성사되면 한일 외교수장 간 회담은 양국 관계를 해소할 사실상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문 대통령이 광복절 축사에서 강 대 강 대치보다 일본과 대화·협력을 원한다는 유화 메시지를 보낸 데 대해 일본 정부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일 간 대화 분위기는 조성됐다. 다만 일본이 여전히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해법 마련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내용이 없으면 갈등을 풀기 어렵다는 부정적인 전망도 만만찮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3국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한일·한중 외교장관 간 양자회담을 개최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관련국과 조율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