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지난해 7월 주 52시간제 시행 이후 생산 차질을 빚은 산업현장 곳곳에서 보완입법 요구가 빗발쳤다. 당장 삼성전자서비스는 이번 여름 에어컨 수리인력 확보를 위해 사무직인 기술강사 500명을 현장직으로 투입했을 정도다. 삼성 같은 대기업은 그래도 버텼지만 내년부터 300인 미만 기업에 주 52시간제가 시행되면 사실상 무방비 상태인 중소기업은 공장 문을 닫아야 할지도 모른다. 사정이 이런데도 국회의 보완입법 작업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만 해도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단위기간을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기로 합의한 게 올 2월인데 6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여야는 자기주장만 내세우며 허송세월하고 있다.
사실 주 52시간제가 산업현장에 제대로 정착되도록 하려면 보완입법부터 먼저 하는 게 맞았다. 이를 개문발차식으로 일단 시행부터 하고 보니 파열음이 나오는 것 아닌가. 정부와 여당은 한시라도 빨리 보완입법에 나서야 한다. 동시에 근본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의 대응능력을 고려해 최소한 중소기업에 대한 주 52시간제 도입시기를 늦추는 방안도 검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