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나무 들이받고 고압선에 걸리고…패러글라이딩 사고 빈발

매년 9∼10건…미신고 사고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돼

전봇대 등 위험시설 없는 활공·착륙장, 우수지도자 양성 필요해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패러글라이딩을 하다 나무를 들이받거나 고압선 걸려 탑승자가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례가 빈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러글라이딩 업체 15곳이 밀집한 충북 단양에선 최근 열흘 사이 2건의 사고가 잇따랐다.

지난 20일 낮 12시 45분께 가곡면 덕천리에서 패러글라이딩을 하던 조종사 A(48)씨와 체험객 B(33)씨는 갑자기 난기류를 만났다. 패러글라이더는 불시착 도중 지상 약 10m 높이의 2만2,000 볼트 고압선에 걸렸다. 충북소방본부 관계자에 따르면 A씨와 B씨가 고압선과 3m가량 거리를 두고 걸려 감전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119 구조대는 사다리차를 이용해 30여분 만에 두 사람을 무사히 구조했다.


지난 10일 오후 1시께는 단양읍 양방산 활공장에서 2명이 탑승한 패러글라이더가 나무에 걸려 50대 조종사 C씨가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C씨의 패러글라이더는 이륙 후 200m가량 비행하다가 나무에 걸린 것으로 전해졌다. 단양소방서 관계자는 “올해 패러글라이더가 불시착해 나무나 전선에 걸리는 사고가 4건 발생했다”며 “정확한 통계가 나오진 않았지만 매년 4∼5건의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5월 5일 전남 장흥에서도 패러글라이딩하던 40대가 전선에 걸리는 사고가 났고, 지난해 11월 경북 문경에서는 패러글라이딩하던 레저업체 대표가 추락해 숨지기도 했다.

관련기사



2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6∼2018년)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패러글라이딩 관련 사고는 총 28건에 달한다. 연도별로는 2016년 9건, 2017년 10건, 2018년 9건이다. 매년 9∼10건의 패러글라이딩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레저 업계는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거나 기타 사정으로 신고되지 않은 사고는 더 많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인애 대한패러글라이딩협회 사무처장은 “사고를 줄이려면 전봇대 등 위험 시설이 없는 넓은 활공·착륙장이 필요하다”면서 “지자체 등이 지원을 늘려 안전한 시설을 확보하고 우수한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협회에서 매년 안전 교육을 하고 있지만, 전국의 모든 영세 영업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라며 “정부에서 관리·감독 기관을 지정해 안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민수 인턴기자 minsoojeong@sedaily.com

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