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같으면 비싼 금리의 사채를 써 자금 부담이 컸겠지만 은행들이 IP 등을 담보로 한 기술금융을 확대하면서 유엠브이기술은 새로운 기회를 맞게 됐다.
담보대출에만 익숙했던 국내 은행들이 변화하고 있다. 국내 은행에 대한 기대감이 글로벌 투자은행(IB) 수준으로 높아지는데다 공룡만 한 덩치를 갖고도 저축은행이나 신용협동조합·새마을금고 등 지역 기반 은행이 맡아야 할 가계대출을 독식하는 게 과연 바람직 하느냐는 원초적인 질문에 직면해 있어서다.
은행들은 공장 등 담보력이 확실한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거나 신용등급이 일정 수준 이상인 우량 기업에만 대출해주던 관행에서 벗어나 기술력을 보고 대출이나 투자를 하는 투융자 복합형 대출을 확대하고 있다. 2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올 들어 국내 은행들이 최근 1년간(지난해 7월~올해 6월) 신규 판매한 일반 동산담보대출은 5,951억원으로 전년 동 기간 대비 7.8배 성장했다. 특히 지난 4월부터 시중은행들이 IP를 담보로 하는 대출을 속속 출시하면서 6월 기준 전체 동산담보대출 잔액은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전체 중소기업대출 잔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0.1% 수준으로 여전히 미미하지만 초기 시장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최근의 성장세는 가파르다.
특히 오는 29일 동산금융정보시스템(MoFIS)이 정식 오픈하면 동산담보 취급기관들의 담보 설정내역과 중복담보 여부, 감정평가액, 실거래가액 등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담보로 설정한 기계, 재고 지식재산권 등 동산담보물이 통일된 분류코드로 등록돼 은행들로서는 대출자산관리 부담도 크게 줄게 된다. 2012년 동산담보법 시행 이후 대출 활성화를 가로막았던 관리상의 난제가 상당 부분 해소되는 셈이다.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신선한 시도다. 금융권 관계자는 “기업대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제조기계나 매출채권·IP 등을 하나로 묶어 담보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일괄담보제도 법제 마련이 시급하다”며 “부실채권(NPL) 등을 거래할 수 있는 회수시장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도 기술금융을 확대하기 위해 동산·채권담보법 개정안 등 법 개정을 위한 연구용역에 나서는 등 팔을 걷고 나섰다. 단 하나의 변수는 국회다. 내년 총선 등 정치 일정을 눈앞에 두고 있어 국회가 이 같은 민생법안에 관심을 가져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