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단독]박원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행안부 반대 이유 모르겠다"

정부청사 지하철출입구 신설 수용에도

행안부, 시민 여론수렴 입장 안굽혀

박원순 서울시장이 27일 서울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변재현기자박원순 서울시장이 27일 서울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변재현기자



행정안전부가 서울시에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의 조건으로 정부서울청사 근처에 지하철 출입구를 신설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밝혔지만 행안부는 “청사 문제와 시민 의견 수렴은 별개”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급기야 박원순 서울시장이 직접 “반대의 이유를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박 시장은 27일 서울시의회에서 김소양 의원(자유한국당·비례)이 “서울시와 행안부가 논의한 내용을 보니 서울시로서는 노력을 많이 했다. 행안부가 제동을 거는 진짜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저도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박 시장은 “정부청사 사이로 길이 나니 청사를 관리 운영하는 (행안부) 입장에서 보면 좋아할 리는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서울경제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와 관련해 행안부와 서울시가 주고받은 공문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행안부는 지난 5월 서울시에 “정부서울청사 북측 광장에 지하철 출입구를 추가 설치해 달라”는 의견을 전달했다. 이 지하철역은 3호선 경복궁역이다. 현재 청사와 가장 가까운 출입구인 6번 출구와 정부청사 건물은 도보로 5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행안부가 요구한 신설 출입구 위치는 서울청사와 사실상 붙어 있는 지역이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이에 대해 지난 7월 행안부에 ‘향후 검토’ 의견을 보냈다. 서울시 관계자는 “거절이 아니라 광장 설계 추진 과정에서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3호선 경복궁역의 출입구 문제까지 서울시가 수용하면 사실상 정부서울청사와 관련된 행안부의 모든 요구는 서울시가 다 받아들인 셈이 된다. 서울시는 △청사의 정문을 보전하고 정문과 통하는 도로를 내줄 것 △새문안로 5길에 청사와 통하는 횡단보도 설치할 것 등에 대해 모두 ‘반영’ 또는 ‘향후 반영’ 입장을 전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행안부는 ‘청사 문제와 시민 여론 수렴은 별개’라는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한편 박 시장은 2021년 5월로 예정된 완공 일정을 늦출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서울로7017도 박근혜 정부 때 제동이 걸렸지만 계속 추진했다”며 선을 그었다. 다만 광장 사용을 문화제로 신청하고 정치집회를 하고 있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에 박 시장은 “경찰의 집회·시위 신고와 비교해 검증하겠다”고 답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