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시그널 人] 정종환 디알코퍼레이션 대표 “700조 원단 시장 ‘플랫폼’으로 잇는다.”

원단 정보 한 데 모은 플랫폼 '키위' 서비스 출시

슈미트 등 VC들로부터 높은 관심

지난해 4억 시드투자 이후 16억 시리즈A 유치 성공

정종환 디알코퍼레이션 대표가 원단 플랫폼 ‘키위’를 통해 고객들과 상담하고 있는 모습.정종환 디알코퍼레이션 대표가 원단 플랫폼 ‘키위’를 통해 고객들과 상담하고 있는 모습.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글로벌 경영컨설팅 회사를 거친 정종환 디알코퍼레이션 대표는 동대문에서 사업을 하는 가족 덕에 원단 시장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동대문은 수 천개 원단가게가 모인 우수한 인프라를 갖췄지만 유통 시스템이 80년대 후반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며 창업을 결심했다. 그 동안 필요한 원단을 찾기 위해 발품을 팔아야 했던 소비자들을 대신해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원단 플랫폼 ‘키위’를 출시한 것이다.

2일 서울경제와 만난 정 대표는 “원단 시장은 단일 규모로 글로벌 700조원에 이르는 큰 시장이지만 원단 관련 정보를 한 데 모은 플랫폼은 없었다”며 키위를 개발한 배경을 설명했다. 키위는 원단과 부자재 등 패션 재료 데이터를 수집해 온라인 상에서 판매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서비스(어플리케이션)다. 원·부자재를 찾는 소비자에겐 다양한 상품을 짧은 시간 내에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원단을 판매하는 상인들의 수익성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7년 창업한 정 대표는 직원들과 직접 동대문 및 전국 원단 시장을 돌아다니며 원단 판매 정보를 확보했다. 그 결과 현재 6,700여개의 제조·유통사들과의 네트워크가 구축됐다. 정 대표는 “창업 초기 상인들로부터 원단 정보를 얻고 온라인 플랫폼에 올리는 것을 동의 받는 일이 쉽지는 않았다”면서도 “지속적으로 상인들과 접촉하며 현재 동대문 원단 상점의 99%의 정보를 확보했다”고 전했다. 또한 네트워크를 전국 단위로 넓혀 유통사 뿐 아니라 제조사와 협업해 소비자가 원하는 원단을 생산, 조달할 수 있는 사업도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키위 라이브러리.키위 라이브러리.


최근에는 단순히 원단 유통정보를 플랫폼에 올리는 것 뿐 아니라 소비자가 자신들에 필요한 원단이 무엇인지 추천하는 서비스도 하고 있다. ‘키위 라이브러리’라는 오프라인 공간을 만들어 패션 디자이너들이 직접 원단을 만져보고 이들에게 필요한 원단을 역으로 추천하는 서비스다. 정 대표는 “원단이라는 아이템의 연결성을 높이는 게 우리 회사의 미션”이라며 “원단은 컴퓨터처럼 사양을 객관화하기가 어려운 상품이기 때문에 필요한 사람과 상품을 연결해주는 존재가 되고 싶다”고 설명했다.

기존에 없던 서비스를 제공하다보니 벤처캐피탈(VC)등 투자은행의 관심도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초 4억원의 시드 투자를 받은 이후 연말에 16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특히 시리즈A의 경우 슈미트, 뮤렉스파트너스, 빅베이슨캐피탈 등 다수의 VC들이 참여했다. 정 대표는 투자 유치 배경에 대해 “단일규모로 원단시장 규모가 큰 편이고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쟁 기업이 없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향후 경영 계획은 제조·유통 네트워크를 바이어에게 연결시켜주는 일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당장 이 달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추계 인터텍스타일 국제섬유전시회’에 다수의 국내 원단 업체와 함께 참석할 계획이다. 정 대표는 “기본적으로 플랫폼 사업자들은 네트워크 규모가 확장되는 것이 기본”이라며 “일정 (네트워크) 규모만 확보되면 돈을 벌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BM)은 자연스럽게 생성·추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