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8년 조선 과학자 장영실이 만든 자동물시계 ‘흠경각옥루’가 581년만에 복원됐다.
국립중앙과학관은 옥루를 이 같이 복원해 본관 내 과학기술관에서 전시중이라고 9일 밝혔다. 옥루는 시계장치와 천문관측장치였던 혼의(혼천의)를 융합해 제작됐다. 기계장치 외부는 한지 재질의 산림모형과 농가 가옥 모형, 백성과 관리 형상의 인형 등로 장식돼 있다.
이번 복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문화융합콘텐츠연구개발사업 일환으로 3년간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국립중앙과학관을 중심으로 고천문학자, 고문헌학자, 복식사학자, 조경사학자, 고건축학자 등이 협력했다. 연구진은 세종실록에 실린 ‘흠경각기’를 기초로 ‘동문선’, ‘신증동국여지승람’, ‘어제궁궐지’ 등의 내용을 대조해 고증했다.
흠경각옥루는 앞서 1434년 만들어진 자동물시계인 자격루와는 제작 의도와 내부 구조가 전혀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고 국립중앙과학관은 소개했다. 자격루가 조선의 표준시계로서 시각의 정밀도에 초점을 맞춰 제작된 반면 옥루는 천문과 지리와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철학적 의미를 강조한 작품이라는 것이다. 특히 조선 세종시절 해당 기기를 설치하고 농사 짓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담은 ‘빈풍도’를 벌려 놓았는데 여기에는 농본 정치를 최우선으로 하려던 세종대왕의 꿈이 담겼다고 국립중앙과학관은 해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