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국내 무역전쟁 반감 커졌다…설문대상자 58% "관세 해롭다"

트럼프 통상정책 기조에도 40% "전혀 유익하지않다"

"트럼프, 농민 등 핵심 지지층 무역전쟁 타격에 이반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열리는 공화당 관련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백악관을 떠나기 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간단계의 합의안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볼티모어=AF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열리는 공화당 관련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백악관을 떠나기 전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간단계의 합의안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볼티모어=AFP연합뉴스



중국과의 무역전쟁에 대한 미국인들의 여론이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여론조사업체 서베이몽키에 의뢰해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미국과 중국의 관세 증가가 미국에 이로운지 해로운지 묻는 말에 전체 응답자의 58%가 해롭다고 답했다.


이 같은 비율은 최근 조사인 6월 53%보다 다소 상승한 수치다. 관세 증가가 해롭다는 응답은 야당인 민주당원들에서는 89%, 무소속에서는 65%, 여당 공화당원들에서는 24%로 정치 성향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다만 이들 반감의 비율이 민주당원(6월 86%)뿐만 아니라 공화당원(6월 18%)들 사이에서도 높아졌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관련기사



무역전쟁에 대한 불만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통상정책 기조에 대한 의문에서도 드러났다. 이달 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이 전혀 유익하지 않다는 응답은 40%에 이르렀고 장기적으로 유익하지만 단기적으로 해롭다는 응답은 23%로 조사됐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정책이 근본 목적으로 삼는 미국 일자리 복원이 실현될 것으로 보는 답변은 6월 42%에서 이달 38%로 떨어졌다. 전반적 기업 여건이 내년에 호전될 것이라는 응답자의 비율도 같은 기간 41%에서 36%로 낮아졌다.

이들 유권자의 인식은 미국의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무역전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미 정치적 여파를 의식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는 오는 10월, 12월 중국 제품에 대한 추가관세를 집행할 계획이었으나 일단 10월 계획은 보류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유화적 제스처라고 밝혔으나 일부 전문가들은 정치적 동기에 의한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농민들이 해외 판로가 막혀 미중 무역전쟁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는 만큼 점차 트럼프 대통령에 등을 돌릴 수 있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올해 9월 2일부터 8일까지 미국 전역에서 연령, 인종, 성별, 교육 수준, 주거지를 고려해 추출한 성인 표본 2,740명을 상대로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