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러 외무부 "북미 대화 중단 끝나가"...남북미에 "한반도 문제 해결방안 담은 '행동계획' 전달"

아태담당 차관 모르굴로프 인터뷰…"한미에 유연한 태도 촉구"

러시아 외무부 고위당국자가 북한과 미국 간 대화 중단 사태가 조만간 종료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북핵 6자회담 러시아 측 수석대표를 맡고 있는 이고리 모르굴로프 러시아 외무부 아태지역 담당 차관은 27일(현지시간)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반도 문제 해결 협상 추이에 “여러모로 판단컨대 북미 간 실무협상 중단 상황이 끝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모르굴로프 차관은 “미국, 한국 측 파트너들과의 정기적 접촉 과정에서 러시아 측은 그들에게 좀 더 건설적이고 유연한 태도를 취하고, 일방적 요구에만 매달리지 말며, 공통분모를 감지하기 위해 시도하고, 공통의 이익을 모색하라고 설득해 왔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모르굴로프 차관은 러시아가 올해 초부터 관련국들에 적극적으로 제안해 온 한반도 문제 해결 구상(‘행동 계획’)이 채택되고 이행돼 실질적 진전이 이루어지길 바란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올해 초부터 (2017년 로드맵에 뒤이은) 새로운 구상인, 한반도 문제의 종합적 해결 방안을 담은 ‘행동계획’을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있다”면서 “여기엔 군사 분야뿐 아니라 정치·경제·인도주의 분야 등에서의 진전을 이루기 위해 관련국들이 다 함께 혹은 개별적으로 취해야 할 모든 행보가 망라돼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 계획을 중국 측과 조율했으며 미국, 한국, 북한 대표들에게도 전달했다”면서 “모든 당사국이 이 문서를 승인함으로써 다자 협력을 위한 상시 메커니즘이 구축되고 한반도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실질적 진전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모르굴로프 차관은 러시아와 중국이 지난 2017년 제안했던 한반도 문제 해결 로드맵(3단계 해결 방안)이 부분적으로 이행됐다고 평가하면서, 그 예로 2018년부터 북한이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중단하고 미국과 한국은 대규모 연합군사훈련을 자제하고 있음을 들었다. 그는 “우리 측에서는 앞으로도 한반도 주변 긴장을 완화하고 이 지역 문제의 정치·외교적 해결 프로세스를 진전시키기 위해 최대한의 적극적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와 중국은 지난 2017년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단계적 구상을 담은 로드맵을 함께 제시하고 이의 이행을 관련국들에 촉구해 왔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