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개인 간 거래)금융 관련 법안들이 국회 정무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하며 P2P 법제화가 7부 능선을 넘은 가운데 P2P금융 업계가 금융당국으로부터 두 개로 쪼개진 협회를 합치라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은행권, 카드 업계, 저축은행 업계 등 타 업권처럼 협회를 중심으로 한 업계의 자발적인 정화 노력을 주문한 것이다. 현재 P2P금융 관련 협회는 지난해 10월 개인신용P2P를 주축으로 출범한 마켓플레이스금융협의회와 부동산 P2P 중심의 한국P2P금융협회로 나뉘어 있다. 두 협회의 성격이 달라 통합 협회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진통과 갈등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최근 P2P금융 업계에 통합 법정 협회를 의무적으로 구성할 것을 요구했다. 당국과 업계의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는 한편 업계의 적극적인 자정 노력이 이뤄지게 하려는 취지에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업체들의 다양한 의견을 효율적으로 수용하기가 쉽지 않아 시행령에 앞서 P2P 법정 협회가 의무적으로 만들어져야 하는 상황”이라며 “협회 차원에서 1차적으로 산업의 건전성을 책임지고 업계가 건전하게 발전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국의 강력한 주문에 P2P 업계는 법제화를 앞두고 난관에 봉착했다. 업계에서도 연초부터 두 협회를 하나로 통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수개월째 진전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두 협회의 성격이 달라 통합 과정이 순탄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앞서 개인신용 P2P들은 부동산 P2P와 추구하는 바가 다르다는 이유로 부동산 P2P 중심으로 구성된 한국P2P금융협회를 탈퇴했다. 당시 부동산 P2P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커 개인신용 P2P가 주도권 경쟁에서 밀렸다는 게 업계의 정설이다.
무엇보다 금융당국이 최근 개인신용 P2P에 힘을 실어주면서 두 협회의 대립이 더 첨예해진 상황이다. 개인신용 P2P 업체들의 중금리 대출 상품이 당국의 포용금융정책 취지와 맞아 떨어지면서 이들 업체가 몸집을 불리는 반면 부동산 P2P 시장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일부 업체의 사기·횡령 문제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 P2P 업계 관계자는 “개인신용과 부동산 P2P의 특성 차이로 분리된 협회를 다시 합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보험 업계처럼 두 개의 법정 협회를 운영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는데 당국이 통합협회를 주문한 상황이라 업계 내 의견 차이를 줄이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