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과 대한의사협회가 라니티딘 사태에 대한 식약당국의 대처에 대해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김명연 자유한국당 의원과 대한의사협회는 1일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번 라니티딘 사태는 대한민국 ‘의약품 안전관리’의 총체적 위기를 그대로 보여준 참사”라고 지적했다. 최대집 의협 회장은 대표발언을 통해 “식약처는 환자 150만명에게 처방되는 다빈도 처방 의약품 위험성을 스스로 알아내려는 노력 없이 미국과 유럽 등 외국의 발표결과에 따라 뒤늦게 조사에 나섰다”면서 “이는 발사르탄 사태와 동일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과 의협은 연간 7조원의 예산을 사용하고 전일제 직원만 2만명 가까이 이른다는 미국의 FDA와 우리나라의 식약처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매번 외국 발표 결과에만 의존하는 점에 대해서는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지난 9월 16일 긴급 조사 발표 당시에는 발암우려물질인 NDMA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했지만 10일만에 원료의약품 7종에서 모두 NDMA가 검출됐다면서 입장을 번복한 점을 꼬집었다. 최 회장은 “정확한 검사결과를 확인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확인해서 조치해도 늦지 않은데 신속하게 대처하는 척 하기 위해서 일부 검사결과만 발표했다가 스스로 입장을 뒤집은 꼴”이라며 “발사르탄 때에도 서둘러 주말에 발표했다가 월요일부터 의료기관이 마비 됐고, 처음 발표했던 의약품 리스트도 축소돼 혼란을 유발했다”고 밝혔다.
식약처의 대응 태도도 문제 삼았다. 최 회장은 “발사르탄 사태 때에도 어설픈 대처로 비난을 받으면서도 ‘신속한 대처’였다며 자화자찬을 하더니 이번에도 또 스스로 칭찬을 하고 나섰다”며 “위협을 먼저 찾아낼 정도의 역량이 없다면 최소한 성실하고 빈틈없는 대처라도 해내야 하는데 ‘뒷북’을 치면서도 매번 공치사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은 “언제까지 이 같은 ‘발암행정’의 피해자가 돼야 하는지, 근본적 혁신은 불가능한지 묻고 싶다”면서도 “정부와 국회 역시 식약처가 내실을 기할 수 있도록 충분한 예산과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