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건강 팁] "가을 알레르기 비염, 돼지풀 등이 원인인지 확인을"

돼지풀 등이 원인인지 검사하고

분무제 콧속 뿌리고 면역치료를




가을은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에게는 반갑지 않은 계절이다. 우선 일교차가 커서 비강 안에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떨어져 비염 증상이 악화된다. 돼지풀, 쑥, 환삼덩굴과 같은 가을철 알레르기 항원에 반응하는 환자도 많다. 가을에 악화된 비염 증상은 춥고 건조한 겨울까지 이어져 장시간 괴로울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은 맑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코 가려움 등의 증상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눈 가려움이나 충혈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증상이 가을에 심해진다면 가을철 알레르기 비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피부단자시험이나 혈청특이 IgE항체검사를 통해 가을철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가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건국대병원 의료진이 알레르기 비염 확인을 위해 피부단자시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건국대병원건국대병원 의료진이 알레르기 비염 확인을 위해 피부단자시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건국대병원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이 악화되면 삶의 질과 집중력이 떨어진다. 중요한 시험을 앞둔 수험생이나 운전을 하는 직업을 가졌다면 그 영향이 중대할 수 있다. 코골이 등으로 수면의 질이 저하되므로 피로도도 상승한다.

매년 가을 비염 증상이 발생하고 해마다 악화된다면 전문가에게 상담·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우선 비염이 알레르기 항원 때문인지 확인한다. 가을철 알레르기 항원과 비염 증상과의 연관성이 명확하다면 늦여름부터 스테로이드 분무제를 코 안에 뿌리는 등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괴로운 가을을 경미한 증상 정도로 넘길 수 있다. 해당 항원에 대한 면역치료로 장기 효과를 기대해볼 수도 있다.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가습기 등을 활용한 습도 조절, 충분한 휴식도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박소영 건국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박소영 건국대병원 교수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