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유엔대사, 안보리소집에 반발...“자위적 조치 문제삼으면 주권 방어 욕구 더 자극”

“또다른 미사일 발사 의미하는 것은 아냐”

안보리소집 요구한 英·佛·獨 비난하며 “배후에 미국” 주장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2일 공개한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3형’ 시험발사 모습 /연합뉴스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2일 공개한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3형’ 시험발사 모습 /연합뉴스



영국·프랑스·독일이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소집을 요구하자 주유엔 북한대표부가 7일(현지시간) 강력히 반발했다. 회의 소집을 요청한 3개국을 비판하는 한편 미국이 배후에 있다는 주장도 펼쳤다.

AP통신에 따르면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이날 기자들에게 영국 등의 안보리 소집 요구에 대해 “위험스러운 시도”라면서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사는 이날 유엔주재 북한대표부에서 일부 외신들을 대상으로 기자회견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사는 “그들 국가는 우리의 자위적 조치를 안보리에서 이슈로 삼으려는 위험스러운 시도를 우리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충분히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같은 메시지는 그들 국가가 지금이 어떤 타이밍인지에 대해 깊이 생각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대사는 “우리는 또한 영국과 프랑스, 독일의 불순한 움직임의 배후에는 미국이 있다는 사실은 안다”면서 “안보리에서 우리의 자위적 조치를 이슈로 제기한다면 그것은 주권을 방어하려는 우리의 욕구를 더욱 자극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안보리 회의 소집은 트럼프 행정부의 동의 없이는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면서 “우리는 미국과 안보리의 모든 움직임을 예리하게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김 대사는 북한의 주권을 어떻게 방어할지, 또 추가 미사일 발사가 그 같은 조치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우리가 미래에 무엇을 할지 주의깊게 지켜봐달라”면서 “그것이 또다른 미사일 발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답변했다.

관련기사



김 대사는 최근 발사한 SLBM에 대해서도 “자위적 조치”라면서 “주변국의 안보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주장했다.

김 대사의 이날 언급은 지난 5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북한 비핵화를 위한 북미 실무협상이 결렬로 끝났지만 여전히 유효한 북미 협상 기조 속에서 안보리가 자신들을 자극하지 말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미국에 대한 압박도 담은 것으로 보인다.

또 최근 잇따른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더 위협적인 SLBM 발사에 대한 안보리 차원의 집단적 규탄과 향후 혹시 있을지 모를 대북 추가제재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3일 영국과 프랑스, 독일은 2일 북한의 SLBM 시험 발사에 대응해 안보리 비공개회의 소집을 요구했다. 북한의 SLBM 발사를 논의할 안보리 비공개회의는 8일 열릴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지난 2일 오전 조선 동해 원산만 수역에서 SLBM인 ‘북극성-3형’을 시험 발사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 위반이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