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중화장실 이용자 3명 중 1명 손 안씻는다

흐르는 물에 비누로 올바르게 씻는 사람 2% 불과

병원성균은 패혈증·피부감염·세균성 페렴 일으킬 수도

손씻기 실천 여부에 따른 음식물 오염도 측정 실험.질병관리본부/연합뉴스손씻기 실천 여부에 따른 음식물 오염도 측정 실험.질병관리본부/연합뉴스



공중화장실을 이용하는 사람 3명 중 1명은 손을 안 씻는 것으로 확인됐다.

14일 질병관리본부는 세계 손씻기의 날인 10월 15일을 맞아 분당서울대병원과 9월 19일부터 24일까지 공중화장실 사용사 1,039명의 손씻기 실천을 관찰한 결과, 32.5%에 해당하는 338명이 전혀 손을 씻지 않았다고 밝혔다. 447명인 43%는 물로만 손을 씻었고,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씻는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한 사람은 21명으로 2%에 불과했다.


공중화장실은 문고리나 변기 뚜껑 등에 병원성균이 많기 때문에, 화장실 이용 후엔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실험에서도 공중화장실에서 병원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이 균은 패혈증이나 중증 피부감염, 세균성 폐렴 등을 야기할 수 있다. 화장실 이용 후 물로만 잠시 씻은 경우에는 상당수 세균이 남아 있지만,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을 경우 세균이 대부분 사라진다.



실제 손씻기 실천 여부에 따라 음식을 먹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이 오염되는 정도도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질본은 김밥, 샌드위치를 먹거나 조리하는 상황을 재연해 음식을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세균인 ‘대장균’을 관찰한 결과 손을 씻지 않고 만지거나 조리한 음식물에서 손을 깨끗이 씻은 후 만진 음식보다 약 56배 많은 세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고재영 질본 위기소통담당관은 “병원균이 서식할 가능성이 높은 화장실 이용 후나 음식을 준비할 때, 식사하기 전, 면역력이 약한 환자를 간호할 때는 반드시 손씻기가 필요하다”며 “평소 손을 잘 씻는 습관은 본인 건강은 물론 타인의 안전을 지키는 ‘스스로 하는 예방접종’(셀프 백신)”이라고 말했다.

/정아임인턴기자 star454941@sedaily.com

정아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