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지난해 혁신형 제약기업 중 지원액 1위 LG생명과학

R&D 투자액 1위 셀트리온 2,818억원

R&D 투자비율 1위 제넥신 656%

남인순 의원 “개정 제약산업육성법 시행으로 제약기업 지원 확대 기대”




지난해 혁신형 제약기업 45개사에 대한 정부의 전체지원액이 103건 922억 5,000만원으로 2017년의 122건 1,142억원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남인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더불어민주당)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제출받은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연구개발(R&D) 지원 211억 7,000만원과 컨설팅 등 사업지원 4억 4,000만원, 세제지원 706억 4,000만원 등 총 922억 5,000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남 의원은 “이는 전년도인 2017년의 1,142억원보다 19.2%인 219억 5,000만원 줄어든 것으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며 “세제지원도 중요하지만 R&D 등 직접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혁신형 제약기업별 지원내역을 살펴보면 45개사 중 가장 많은 지원을 받은 곳은 LG생명과학으로 136억1,000만원 상당의 지원을 받았다. 이어 대웅제약 92억 4,000만원, 종근당 91억 5,000만원, 바이로메드 89억 2,000만원, 셀트리온 67억 9,000만원, CJ헬스케어 59억원, 보령제약 57억 1,000만원, 제넥신 48억 4,000만원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R&D 투자비율이 가장 높은 제약기업은 제넥신 655.7%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알테오젠 459.2%, 코아스템 71.4%, 이수앱지스 68.9% 등의 순으로 높았다. R&D 투자금액은 셀트리온이 2,817억 8,0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한미약품 1,599억 2,000만원, 녹십자 1,224억 3,000만원, LG생명과학 1,176만 4,000만원, 종근당 1,115억원, 대웅제약 935억 4,000만원, 유한양행 908억원 등의 순이었다.

한편 지난해의 경우 상장제약기업의 영업이익률이 8.2%인데 반해 혁신형 제약기업은 9.1%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의 영업이익률은 상장제약기업 10.5%, 혁신형 제약기업 11.9%로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다소 줄어들었다.

남인순 의원은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지원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성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면밀히 분석해 지원에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며 “신약 연구개발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제약기업에 대해서도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대상에 포함시키고,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마크 사용을 활성화하며, 약가 우대 근거를 법률로 명시한 만큼 약가 우대 등을 통해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