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년간 뺑소니 2만3천건…경기도, 오전 4~6시 "가장 위험하다"

2016년부터 3년간 발생한 뺑소니 사고 3만3810건

사망자 408명, 경기 충남 경북 순…서울은 24명 그쳐

/연합뉴스/연합뉴스



최근 3년간 뺑소니 사고로 사망한 피해자가 4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이 도로교통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뺑소니 사고가 2만3천810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상자는 3만4천806명이며, 408명은 목숨을 잃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천99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2천312건, 대구 2천241건 순이었다. 사망자 수는 경기도 74명, 충남 44명, 경북 38명 이었다. 인구가 가장 많은 서울은 24명, 대구는 23명에 그쳤다.


시간대는 전체 사고 중 13.4%에 해당하는 3천212건이 오후 10∼12시에 발생해 가장 많았다. 이어 오후 8∼10시 2천843건, 오후 6∼8시 2천731건 순이었다.

관련기사



그러나 사고 100건 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치사율은 오전 4∼6시가 4.86명으로 평균치 1.71명의 2.8배에 달했다. 이 외에도 오전 2∼4시 사고의 치사율은 3.54명, 자정∼오전 2시는 2.28명을 기록해 새벽 시간대 사고가 더 위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지난 7월 11일 오전 2시 25분께 전북 익산시의 한 도로에서는 길을 건너던 A(48) 씨가 뺑소니 차량에 치여 숨졌다.

소병훈 의원은 “뺑소니는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 최소 5년 이상, 사망에 이르지 않더라도 최소 1년 이상의 징역에 해당하는 중죄”라며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시간대에 순찰을 강화하고, CCTV 설치 등 시설과 장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상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