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단독]예정처 "정책금융기관 손실보전 예산 재검토해야"

2020년도 예산안 분석 자료

"산은 등 BIS 비율 양호...추가 지원 없이도 충격 감내 가능"

국회 예산정책처가 산업은행·수출입은행과 같은 정책금융기관의 자기자본비율(BIS비율) 등을 고려할 때 이들의 손실을 보전해주는 예산 편성이 적절한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정책금융기관의 자본 건전성이 충분히 양호하다는 판단에서 이번에 편성된 예산 규모의 적정성을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24일 국회 예정처가 작성한 2020년도 예산안 분석 자료에 따르면 예정처는 금융위원회가 산업은행·중소기업은행 출자 사업에 총 900억원의 예산을 편성한 것을 두고 “BIS비율 등을 고려할 때 사업 초기 단계에서 정책금융기관의 손실을 보전하는 예산을 편성하는 게 적절한지 검토해봐야 한다”는 분석 의견을 내놨다. 금융위원회는 리스크가 큰 만큼 적극적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예정처는 회의적 의견을 내놓은 것이다. 예정처는 지난 2019년 6월 기준 산업은행과 중소기업은행의 총자본비율이 각각 14.70%, 14.50%이고 단순기본자본비율이 각각 11.39%, 6.34%라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시중은행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금융감독원 규제 기준인 바젤Ⅲ 규제비율을 상회하는 만큼 이들 금융기관이 추가 예산 지원 없이도 대내외 충격을 감내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관련기사



예정처는 또 다른 예산안 분석 자료에서도 한국수출입은행의 BIS비율이 목표 BIS비율인 10.5%를 충분히 상회하는 만큼 한국수출입은행 출자 사업에 대한 예산 규모를 재검토해봐야 한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우리 기업의 초고위험국가 수주 목적의 특별계정 지원 여력 확보를 위해 한국수출입은행이 적정 BIS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가 출자하는 사업이다. 해당 예산은 2019년 예산 (300억원) 대비 1,700억원 증액된 2,000억원이 편성됐다. 예정처는 “2019년 6월 기준 한국수출입은행의 BIS비율은 14.43%로 상기 목표 비율인 10.5%를 상회하고 있고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또 예정처는 초고위험 국가에서의 수주지원 목적 정책금융 지원은 내전과 같은 높은 국가위험도 등으로 실제 계약 체결이 이뤄지지 않아 정책 지원이 무산될 가능성도 높다며 예산 재검토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하정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