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신간




2019년 7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9개소 서원이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이란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되었다.

‘한국의 서원’은 성리학의 이념으로 설립된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 소수서원(경북 영주), 옥산서원(경북 경주), 도산서원(경북 안동), 병산서원(경북 안동), 도동서원(대구 달성), 남계서원(경남 함양), 무성서원(전북 정읍), 필암서원(전남 장성), 돈암서원(충남 논산) 등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조선시대에 향교와 견주는 서원이라는 교육기관이 있었다는 정도는 알고 있지만 서원을 신문화가 등장한 이후 큰 주목을 받지 못한 과거의 유산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한 서원이 유네스코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고 하자 그야말로 놀란다. 서원이 유네스코세계유산으로 지정될만큼 세계적으로 중요한 요소를 갖고 있음에도 이에 대해 전혀 몰랐거나 무관심했기 때문이다. 이는 실제로 서원에 대한 국내 출간물이 거의 없다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한국의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데는 상당한 우여곡절이 있었다. ‘한국의 서원’은 2011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고, 2013년에는 ‘2015년도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으로 선정되었는데 2016년 4월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반려되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재신청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는데 이는 그야말로 기적이나 마찬가지다.

등재 후보지가 ‘문화유산’일 때는 ICOMOS가 현지실사를 포함한 해당 유산에 대한 광범위한 심사를 한다. 그런데 ‘한국의 서원’은 등재 신청 자체를 해당 국가에 돌려보내는 ‘반려(Defer)’였다. 등재 자체가 아예 불가능하다는 ‘등재 불가(Not Inscribe)’에 비해서는 훨씬 좋은 평가이긴 하지만, 등재를 장담할 수 없는 것이라는 사실 또한 부인할 수 없다.

ICOMOS에서 반려로 판정되자 한국은 일단 세계유산 신청을 철회한 후 계속적으로 서원의 등재를 추진하면서 ICOMOS와 긴밀하게 연결 자문을 받아 신청 내용에 대한 보완을 지속하면서 2018년 1월 최종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는 매우 위험한 결단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일단 등재 신청서를 제출했음에도 탈락하면 서원이라는 명목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영구히 신청할 수 없기 때문인데 역으로 말한다면 그만큼 한국 측의 준비가 철저했음을 의미한다. 결과로만 보면 이러한 노력은 응분의 성과를 거두었다. 한마디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불가하다고 완곡하게 거절한 ‘한국의 서원’이 많은 사람들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2019년 7월 최종 등재 결정이 이루어진 것이다.

관련기사



이 책은 그동안 우리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서원을 기초부터 분석한 후 9개의 서원을 일일이 답사하여 그 실상을 낱낱이 알려주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제1부는 조선 특유의 사립학교인 서원에 들어가기 전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인 서당, 향교, 성균관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을 제외하고 한국의 서원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2부는 서원이 태어나게 되는 배경을 설명하고 제3부는 서원이 탄생하는 원동력인 사림(士林)을 비롯한 서원에 대한 기본정보를 담았다. 우선 서원의 주체세력인 사림은 조선 초기 소위 비제도권에 속했는데 결국 집권세력이 되어 한국 정치사의 핵심으로 붕당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촉발시킨 장본인이다. 이에는 조선 특유의 사화(士禍)가 개제된다. 서원을 보다 이해하기 위해 훈구파, 사림파를 비롯하여 사화에 대해 집고 넘어간다.

제4부는 서원 건축에 대해 설명하며 제5부에서 유네스코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9개 서원에 대한 상세를 답사를 통해 설명한다.

서원이 유네스코세계유산에 지정되었다는 것은 세계인들에게 세계적인 유산으로 인정될만큼 중요성을 갖고 있다는 뜻이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의 전통 건물을 볼 때마다 뭐가 뭐고 어떻게 다른지 헷갈린다고 생각하지만 바로 그런 불가사의한 면이 듬뿍 들어있기 때문에 서원을 비롯한 한국의 건축물들이 계속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바로 어렵게 생각하는 우리의 유산을 친절한 설명과 현장 답사를 엮어 서원에 대해 잘 모르는 초보자들도 보다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그러므로 이 책의 서원에 대한 설명을 현장에서 비교해보면 유네스코세계유산으로 지명된 서원의 진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