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재검토’ 지시한 美국방사업 MS가 수주…‘미운털’ 베이조스의 아마존은 탈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 국방부의 클라우드 사업의 사업자 선정을 재검토하도록 지시한 이후 결국 마이크로소프트(MS)가 따냈다고 AFP통신 등이 26일(현지시간) 전했다.

‘합동방어 인프라사업’(JEDI·제다이)으로 불리는 100억 달러(11조7,000억원) 규모의 10년짜리 이 프로젝트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모든 군사 관련 기관이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국방 분야 미래 사업이다.


사상 최대의 미 정부 정보기술(IT) 조달 사업으로 불릴 만큼 규모가 크고, 사업을 따내면 향후 다른 연방정부 클라우드 사업 수주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어 업계의 경쟁도 치열했다.

미 국방부 최고정보책임자(CIO)인 데이나 디지는 “국가방위전략에 따르면, 우리는 군에 속도와 효율성을 높여 현대화한 기술 역량을 제공할 의무가 있다”면서 “이번 사업자 선정은 디지털 현대화 전략의 실행에서 중요한 진전이다”라고 밝혔다.


아마존 측은 국방부 발표 후 “결과에 매우 놀랐다”며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명백한 선두 사업자다. 사업 제안과 관련해 상세한 평가가 엉뚱한 결론으로 이어졌다”고 불만을 나타냈다. MS 측은 즉각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관련기사



중도 탈락한 IBM과 오라클을 비롯해 클라우드 시장 1, 2위인 아마존과 MS가 JEDI 수주전에 뛰어들었는데 업계에서는 아마존이 사업을 따낼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아마존 웹서비스(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 지배적인 위치에 있고, 미 중앙정보국(CIA) 등 다른 정부 조직들도 아마존의 기밀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올 7월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에게 사업자 선정 전면 재검토를 지시하면서, 아마존을 겨냥한 조치 아니냐는 해석도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마이크로소프트나 오라클, IBM 등 다른 회사들로부터 불평을 들었다”며 “사업을 아주 주의 깊게 볼 것이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를 소유한 아마존의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를 눈엣가시로 불편하게 여겨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백악관과 연방기관에 정부 비판 기사를 자주 싣는 뉴욕타임스(NYT)와 WP의 구독 중단을 지시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