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하려면 재생기업 발굴·육성 투자해야

창신·숭인 시행착오 이겨내고

도시재생사업서 선도적 역할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



한때 국내 봉제·의류산업의 중심지로 번성을 누렸지만 쇠퇴기를 맞으면서 활력을 잃은 서울 창신·숭인지역은 지난 2014년 국가도시재생선도사업지역으로 지정됐다. 그해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도시재생사업으로 창신·숭인지역의 낙후된 도시기반시설이 대대적으로 정비됐다. “눈에 띄게 좋아졌다”고 평가하는 주민이 많지만 일부는 “변화를 느끼지 못하겠다”고 말하기도 한다.

서울시의 도시재생사업을 진두지휘하는 강맹훈(사진) 도시재생실장은 이런 평가에 대해 “도시재생사업이 낯설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주민체감도가 높지 않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소소한 행복을 주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며 “주민주도 도시재생인 이곳에서 주민들과 서울시는 가보지 않았던 새로운 길을 가다보니 시행착오도 있었고 사업추진의 탄력성도 계획했던 것 보다 강하지는 않았던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가 새로운 시도를 하다 보니 계획대로 척척 맞아 떨어지지 않은 부분도 있지만 창신·숭인지역이 도시재생의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강 실장은 “창신·숭인동의 마중물 사업을 하면서 기본 취지는 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도시재생이었다”며 “주민이 원하는 필요한 시설이나 환경을 만드는 마중을 사업은 크게 주거환경개선과 앵커시설 조성 그리고 주민 간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주민역량강화 사업에 역점을 두고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물로 주민환경개선 사업에서는 안전안심골목길을 비롯 주민공동이용시설과 친환경 어린이놀이터 등을 조성했고,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으로는 봉제역사관·공공작업장 설립, 일자리 지원 등을 추진했다. 또 지역 명소화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이 함께 모이고 이용할 수 있는 시설로 백남준 기념관과 채석장 전망대를 조성하는 한편 원각사 마무리 공사도 진행 중이며 주민역량 사업으로 마을 배움터 사업을 실시했다.

서울시는 창신·숭인동을 필두로 도시재생사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강 실장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이 되기 위해서는 해당지역에 재투자가 이뤄지는 선순환 지역순환형 경제구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지속가능한 지역재생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시재생기업(CRC) 발굴·육성에 노력하고 있다”며 “CRC는 다양한 지역자원을 결합·활용해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의 선순환 경제 생태계 구축에 나서는데 사회적협동조합이나 마을기업 등이 법인 형태로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창신·숭인지역의 마중물 사업은 종료됐지만 도시재생사업은 현재진행형이다. 올해도 30억원의 추경예산을 편성해 노후 도로와 계단을 정비했고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환경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강 실장은 “도시재생사업은 단기간에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보다는 긴 호흡으로 지속적인 지원과 관리가 필요하다”며 “서울시는 이를 위한 역량과 노력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