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철강 부산물로 만든 비료' 홍보 나선 최정우 포스코 회장

토질개량·온실가스 감축에 기여

전남 광양서 비료 뿌리기 봉사활동




최정우(사진) 포스코 회장이 철강 부산물로 만든 친환경 비료의 수요 촉진을 위해 직접 나섰다.

포스코는 최 회장을 비롯한 임직원 50명이 전남 광양시 진월면에서 규산질 슬래그 비료의 효능과 필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규산질 슬래그 비료 뿌리기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30일 밝혔다. 규산질 슬래그 비료란 용광로에서 쇳물을 뽑아내고 남은 슬래그를 건조하고 분쇄해 알갱이 형태로 만든 비료다. 벼의 광합성을 촉진하고 줄기를 튼튼하게 하는 가용성규산이 약 25~30%, 토양 개량을 돕는 알칼리분이 40~48%가량으로 구성돼 있다.


최 회장은 “철강 부산물인 슬래그가 맛좋은 쌀을 만드는 친환경 비료로 새로 태어나 농가소득 증대는 물론 토질 개량과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포스코와 농민들, 중소 비료 제조사가 상생할 수 있게 관련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포스코에 따르면 규산질 슬래그 비료에 포함된 규산은 벼 줄기를 3배 이상 강하게 만들어 바람을 잘 이겨내 수확량을 10~15% 증대시킨다. 비료의 또 다른 성분인 알칼리분은 토양 산성화를 방지한다. 이는 자연스럽게 농가의 소득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적 측면에서도 비료에 포함된 철이온(Fe3+)이 논에서 나오는 메탄양을 15~20%가량 감소시킨다. 포스코는 규산질 슬래그 비료가 연간 110만~150만톤의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 13일 멕시코 몬테레이에서 개최된 세계철강협회 집행위원회에서 ‘철강 부산물인 슬래그를 재활용한 규산질 비료와 인공어초 제작을 통한 바다숲 조성’을 주제로 포스코의 농어업 분야 상생 사례와 온실가스 감축 노력 등을 소개했다. 포스코는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이라는 경영이념하에 중소기업 제조품목에 해당하는 규산질 비료 산업 발전에 적극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한동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