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2028년도 수능에 서술형 문항 도입되나

당정청, 중장기 대입개편안 논의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교육관계 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문 대통령,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교육관계 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문 대통령,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는 오는 2028년도부터 적용될 중장기 대입 개편안의 일환으로 수학능력시험에 서술형 문항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30일 알려졌다.


30일 정치권에 따르면 당정청은 이날 국회에서 비공개로 개최한 협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28년도 대입 개편 구상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정부는 현행 객관식·단답형 문항만으로는 ‘수학능력 검증’이라는 시험의 본래 목적을 제대로 살릴 수 없다고 판단하고 수능에 서술형 문항을 도입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라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수능의 난도를 어떻게 조정할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논술형까지 가기는 너무 멀고, 서술형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당정청이 쭉 이야기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2028년도 이후에는 수능을 포함한 대입제도에 대한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장기과제이기 때문에 당장 어떤 결론을 낼 사항은 아니다. 향후 국가교육위원회가 본격적으로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앞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30일 취임 1주년 기자 간담회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의 투명성을 높이는 것은 전체 대학입시 제도 개선의 단기 방안”이라면서 “중장기 대입 개편은 2028학년도 대입 시점에 맞춰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감안할 때 협의회에서 논의된 수능 개편안의 경우 당장 다음 달 발표할 예정인 대입 제도 개편안에는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