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LNG선 등 조선산업 국내외 전망 살핀다

창원서 13일까지 국제 콘퍼런스

15개 세션 60개 주제 발표

국내·외 LNG 관련 최신정보 제공

최근 대형 조선 3사 중심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수주가 늘고 있는 가운데 핵심기술 선점과 국산화 등 조선산업정책 동향과 전망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경남도는 12일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경남조선기자재협동조합과 경남테크노파크, 부산조선기자재협동조합, 해양대 링크+사업단 공동으로 ‘국제 LNG 콘퍼런스 2019’를 개최했다. 지난해 이어 두 번째 열린 이번 콘퍼런스는 국내·외 LNG선박 및 벙커링 산업 정책동향과 전망을 논의하고 LNG추진선박의 필요성과 국제환경규제 ‘IMO2020’에 대해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13일까지 진행된다.


IMO2020은 산성비를 유발하는 황산화물(SOx) 배출을 막기 위해 국제해사기구(IMO)가 내년 1월부터 선박연료유의 황 함유량 상한선을 3.5%에서 0.5%로 대폭 낮춰 황산화물 배출을 강화하는 규제를 말한다. 이날 콘퍼런스는 비달 돌로넨 DNV-GL 코리아 대표의 ‘LNG를 포함한 에너지 사용 추이 전망’과 박무현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의 ‘LNG가 유일한 해결책’ 등 기조연설로 시작했다.

관련기사



콘퍼런스는 3개 트랙으로 나누어 15개 세션 60개 주제로 진행된다. 트랙A는 LNG연료추진선, LNG벙커링선, LNG운반선 등 핵심 제조기술을, 트랙B는 LNG 터미널 하역장비, LNG연료엔진시스템, 증발가스 재액화 등 기자재 핵심기술, 트랙C는 디지털 트윈 및 ICT기반 벙커링 시스템, 극저온 고망간강 LNG탱크 실선적용 등 LNG 관련 미래기술을 다룬다.

문승욱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최근 대형 3사 중심으로 LNG운반선 수주가 늘어나고 카타르와 러시아 등 대규모 발주가 예상되고 있어 LNG관련 핵심기술 선점과 국산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LNG선박 수요에 대응하고 최신 기술 동향을 파악해 국내 LNG 기자재 업체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