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격리 치료 권장’ 결핵환자 58%, “병원서 당일 격리 안 돼”

김홍빈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 폐결핵 환자 1,000명 의무기록 분석

“입원부터 격리되기까지 시간 걸려…선제 격리 필요”

/연합뉴스/연합뉴스



격리 치료가 권장되는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절반 이상은 국내 병원 방문 후 입원 당일 격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성 폐결핵은 기침 등을 통해 결핵균을 전파할 위험이 있어 2주간의 격리 치료가 권장되고 있다. 이에 확진 전이라도 활동성 폐결핵이 의심되면 적극적으로 선제 격리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 소속 김홍빈 교수 연구팀은 “2008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10년간 2개 의료기관에서 활동성 폐결핵으로 확진된 환자 1,062명의 의무기록을 검토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조사 대상자의 절반이 넘는 57.6%(612명)는 입원 당일 다른 환자들과 격리되지 않았으며 활동성 폐결핵 환자가 입원부터 격리되기까지 걸린 기간의 중앙값은 1일이었다.


격리가 지체된 데에는 환자가 호흡기내과, 감염내과가 아닌 이외의 진료과를 방문하거나 결핵으로 진단할 만한 증상을 보이지 않았던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환자가 고령일수록 기침, 호흡곤란, 발한 등 일반적인 결핵 증상을 보이지 않아 격리가 늦어지기도 했다. 조사 결과 적절히 격리된 경우는 결핵을 앓은 과거 경험이 제대로 파악되거나 야간의 발한 등 폐결핵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확인될 때였다.

관련기사



김 교수는 “해외에서는 대개 원인 불명의 폐렴 등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의 경우 일단 격리했다가 결핵균 음성이 확인되면 일반 병실로 이동시킨다”며 “결핵의 병원 내 전파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적극적인 선제 격리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KMS) 최근호에 게재됐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선제 격리와 관련해 최희정 이대목동병원 교수는 같은 학술지 사설에서 “병원에서 초기에 폐결핵 환자를 격리하지 못한다면 의료인이나 다른 환자들에게 전파시킬 위험이 높다”며 “초기부터 선제 격리의 적용과 그에 상응한 일인실 확보가 국내 결핵의 병원 내 전파를 줄여 결핵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겠다”고 평하기도 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