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경심 추가 기소에도 "조국 딸 입학취소 추가검토해야"...고려대 논란 재점화

정경심 '입학비리' 추가기소됐지만

고려대 "추가검토...신중해야" 입장

일부 학생들 "대응 의지없어, 치욕"

총장 "부정입학 증명할 자료 없어"

지난 8월 23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에서 재학생 및 졸업생들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딸의 입학과정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교내를 행진하고 있다./오승현기자지난 8월 23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에서 재학생 및 졸업생들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딸의 입학과정에 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교내를 행진하고 있다./오승현기자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딸 조모(28)씨가 졸업한 고려대에서 조씨의 입학취소 여부와 관련해 논란이 다시 일고 있다. 고려대 측이 검찰의 수사 결과를 지켜보고 입학취소를 할지 결정하겠다고 했지만, 검찰이 최근 정경심 동양대 교수를 자녀 입학비리 혐의로 추가 기소했는데도 “(조씨의 입학취소 여부에)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일부 학생들은 ‘눈치보기’라며 비판하고 있지만 고려대 측은 입학취소를 결정할 수 있는 결정적 자료가 검찰의 수사에서도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17일 고려대에 따르면 이 학교 재학생 A씨는 지난 15일 교내 게시판에 대자보를 붙이고 “고려대 인재발굴처가 보이는 부정의와 불공정에 분노하고 ‘조X 합격 취소 시위’를 건의한다”면서 집회 집행부와 참가자 모집에 나섰다. 또 A씨는 “스펙이 조작됐다는 근거가 굉장히 많이 드러났는데도 학교가 대응 의지가 없다”며 “가능하면 다음 주 중 교내에서 시위를 열고 싶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대 학생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인 ‘고파스’에서도 조씨의 입학취소 결정을 미루는 학교 측을 향해 “치욕스럽다”, “고려대 발전기금 납부 거부 운동에 들어가겠다”는 등의 비판성 글이 이어져 개제됐다.

관련기사



정진택 고려대 총장. /연합뉴스정진택 고려대 총장. /연합뉴스


이같은 교내 반응은 정경심 교수가 이달 11일 사모펀드 투자 의혹과 더불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및 허위작성 공문서 행사 등 자녀 입시비리 의혹으로 추가 기소가 됐지만 고려대 측이 조씨의 입학취소는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놓은 데서 나왔다. 특히 정 교수의 공소장에 조씨가 입시비리 관련 혐의 공범으로 적시까지 된 상황에서 고려대가 윈칙대로 하겠다는 방침을 번복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다. 앞서 고려대는 조씨의 입학취소 여부 결정은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논란이 이어지자 정진택 고려대 총장은 학교 홈페이지에 입장문을 내고 진화에 나섰다. 정 총장은 “입학 사정을 위한 전형자료에 중대한 하자가 발견되면 입학 취소 처리가 될 수 있다고 알려드린 바 있고, 이런 입장은 바뀌지 않았다”며 “논란이 되는 자료의 제출 여부를 다각도로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정 총장이 설명한 ‘논란이 되는 자료’는 2010학년도에 조씨가 부정하게 입학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는 입학지원서 등 관련 서류다. 하지만 관련 규정에 따라 이 자료는 모두 폐기돼 자체 조사를 통해 제출 여부를 파악할 수 없고, 검찰의 공소사실에도 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 총장은 “(문제의 전형자료) 제출 여부가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조치가 마땅하지 않아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는 답변을 언론에 밝힌 바 있다”며 “기존 입장을 바꾼 게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한편 한 시민단체는 이날 정 총장을 고발하겠다고 예고했다. 법치주의 바로 세우기 행동연대는 18일 기자회견을 갖기로 하고 “검찰의 정경심 교수 공소장에 따르면 조국 전 법무부장관의 딸 조씨를 입시비리 범죄 혐의의 공범으로 적시했고, 고려대 입시 때 허위·위조 스펙자료를 제출해 최종 합격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이는 입학을 즉각 취소해야할 명백한 입시비리인 것”이라며 “정 총장은 검찰조사에 드러난 사실을 바탕으로 조씨의 입학을 즉각 취소해야 마땅함에도 입학 취소를 거부하는 것은 ‘입학 과정 하자 발견 시 입학을 취소할 수 있다’는 고려대 학사운영규정을 무력화시켜 고려대 입시업무를 명백히 방해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정 총장에 대한 구속수사를 촉구했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