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남도, 복지와 기술의 융합 인공지능 통합돌봄 서비스 출범

18일, 경남도, SK텔레콤, 시군 등 업무협약 체결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는 스마트 복지 서비스 시작

맞춤형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 체계.                   /사진제공=경남도맞춤형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 체계. /사진제공=경남도




인공지능돌봄서비스 긴급 SOS 서비스 체계.인공지능돌봄서비스 긴급 SOS 서비스 체계.


경남도가 노인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 가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스피커를 보급해 ‘통합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는 우선 커뮤니티케어 선도사업 지역인 김해시를 포함한 경남형 커뮤니티케어 사업 지역인 창원시 동읍과 의령군 부림면, 고성군 회화면 등을 대상으로 돌봄이 필요한 취약계층 1,000가구에 시범 추진하고 2020년 이후에 전 시군을 대상으로 사업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경남도가 18일 도정회의실에서 SK텔레콤과 창원시 등 6개 시·군, 도내 복지관련 단체 등 관계자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공지능 통합돌봄 서비스 출범식’을 가졌다. 이날 출범식은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 소개, 인공지능 스피커 시연, 조난신고(SOS)사례 공유, 업무협약 체결, 인공지능 스피커 등 물품 전달식 순으로 진행했다. 업무협약은 경남도내 스마트 복지 사업 추진 및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해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관련기사



인공지능 돌봄서비스가 구축되면 서비스 시행 지역 내에서는 홀로 어르신이 인공지능 스피커를 통해 음악 감상과 대화를 할 수 있다. 몸이 불편한 장애인도 간단한 말로 집안의 조명을 제어 할 수 있게 된다. 또 응급상황 발생 시는 음성으로 도움을 요청하면 주간에는 돌봄센터 사회복지사에게, 야간에는 119등으로 연결돼 24시간 긴급 구조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어르신들의 두뇌 활동 촉진을 위한 인지 강화 게임, 시군 및 복지센터의 공지사항을 안내받는 새 소식 듣기 기능이 인공지능 스피커에 탑재돼 어르신들과 행정기관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현재 홀로 어르신 돌봄 체계는 한 명의 생활관리사가 25명의 어르신을 담당하고 있으나, 앞으로 경남도가 시행하는 인공지능 통합돌봄 서비스는 1명의 돌봄 인력이 100여 명의 취약계층을 돌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복지예산으로 더 많은 홀로 어르신과 장애인을 케어할 수 있게 되고, 지역에는 정보통신기술(ICT) 케어 매니저, 콜센터 상담원 등 사회 서비스 일자리도 생기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경수 도지사는 “인공지능통합 돌봄서비스를 시작으로 도내 곳곳에서 민관 협력을 통한 공유가치가 창출되고, 향후 민관 융합사업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창원=황상욱기자 sook@sedaily.com

황상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