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바이오벤처 보로노이, '염증성 질환' 신약 내년 상반기 글로벌 임상 돌입




표적치료제 신약개발 전문기업 보로노이가 염증성 질환에 대한 신약후보물질 글로벌 임상에 돌입한다.

보로노이는 최근 미국 아틀란타에서 열린 전미류머티즘학회(ACR)에서 자체 개발한 신약후보물질 2개로 내년 상반기 중 글로벌 임상 1상에 나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염증성질환의 경우 현재 류머티즘치료제 ‘휴미라’처럼 주사 치료용 항체 의약품이 수십조원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주사제에 대한 환자들의 거부감과 함께 항체치료제를 장기간 이용할 경우 이에 대한 중화항체로 인해 약효가 떨어지는 현상(Anti-drug antibody 현상)이 약점으로 지목돼 왔다고 회사는 전했다. 현재 보로노이가 개발중인 염증성 질환 치료제는 모두 경구용이다.



현재 염증을 유발하는 효소인 ‘DYRK1A’ 타겟 치료제로 미국 사무메드가 골관절염을 적응증으로 임상 3상을 진행중이지만 관절강에 직접 주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경구용인 보로노이 후보물질과는 투여경로와 치료 적응증 분야(류머티즘관절염, 염증성장질환(IBD), 아토피 피부염, 건선, 루푸스 등)가 상이하다고 회사는 전했다. 보로노이는 올해 안에 캐나다에 임상시험 허가 신청을 낸 후 내년 상반기 임상에 돌입할 계획이다.

김대권 보로노이 대표는 “국내 임상이 시작된 뇌암 치료제에 이어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염증성 질환에서 내년 상반기에 임상이 시작된다”며 “지난달 미국암학회(AACR)에서 큰 주목을 받은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제도 전임상이 마무리 단계여서 보로노이 파이프라인 기술력이 객관적으로 입증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