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반도체, 브레인시티, 산업단지까지… 글로벌 기업 도시로 거듭나는 평택

평택 내 산업단지 준공…글로벌 기업 들어서면서 국제 기업 도시로 발돋움

다양한 산업단지 건립으로 인구 증가 및 주택 수요 높게 나타나…신규 주택 공급 필요

경기도 남부 지역의 평택시가 다양한 산업단지와 함께 글로벌 산업도시로 진화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중국 등 외국과 가까운 장점을 비롯해 첨단 산업단지가 밀집하게 되면서 도시 지도가 새롭게 써지고 있는 것이다.

평택산업단지관리공단에 따르면 평택 내에는 송탄산업단지, 평택산업단지, 칠괴산업단지, 장당산업단지, 진위산업단지 등 5개 산업단지에 266개의 업체가 입주해 있다. 다양한 전문 산업군을 갖춘 업체들이 입주를 하면서 산업단지 간 시너지 효과는 물론 산업 발달과 인구유입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평택항을 주변으로는 현덕지구 및 포승지구를 중심으로 물류와 관광, 유통 중심의 산업지구도 건설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말 기반 공사가 완료되는 포승지구는 주변 산업단지와 비교해 30%가량 낮은 분양가로 외국 기업에도 인기를 끈다. 향후 글로벌 기업들이 평택에 들어서게 되면 평택은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 산업 도시로 거듭날 전망이다.

여기에 국내 핵심 산업으로 꼽히는 반도체 산업에도 평택의 역할이 커졌다. 평택 고덕면 일대에 들어서는 고덕국제계획지구에는 삼성전자 반도체 평택 캠퍼스도 활기를 더하고 있다. 반도체 분야 세계 1위를 자랑하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은 부지 면적 289만㎡로, 축구장 400개 넓이에 해당하는 대규모 부지를 보유한 산업단지다. 이미 2017년 양산을 시작한 반도체 1기 라인의 출근 인원은 9,000여명에 달하며, 2020년 3월 완공 예정인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2기 라인도 가시권에 들어섰다.

이 밖에도 토지 보상 절차가 진행 중인 브레인시티, 공사 중인 스타필드 안성 등 다양한 대규모 개발 호재로 인해 평택 부동산 시장이 부상하면서 타지역에서 원정 투자를 원하는 수요도 크게 증가했다.

이처럼 평택 내 산업단지가 건립이 본궤도에 접어들면서 인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평택 인구는 2014년 약 44만 9,000명에서 매년 1만명 이상 늘어 올해 4월 인구 50만 시대를 열었다. 2019년 10월 기준 인구는 50만 9,529명이다.

관련기사



미군 수요 역시 평택의 미래를 이끄는 핵심 요소 중 하나다. 평택에 위치한 게리슨 험프리스(K-6)는 주한미군의 70% 주둔은 물론 동북아 최대 규모로서 핵심 군사 지역으로의 위상을 더욱 높게 하고 있다.

이처럼 평택 일대에 호재가 집중되면서 신규 분양 시장도 상승세를 타고 있다. 지난 9월 포스코건설이 분양한 ‘지제역 더샵 센트럴시티’의 경우 1순위 청약에서 1,821가구 모집에 5,797명이 몰리며 평균 3.1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부동산 전문가는 “평택 내 신규 산업단지 건립 및 미군 부대 확장으로 인한 일자리 확충으로 주거 인구가 크게 늘어남에 따라 주거 수요도 높게 나타난다”며 “앞으로도 평택의 미래가치가 높게 평가된다”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평택 미군기지 인근에 미군(외국인)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특화 상품인 ‘게리슨 험프리스 파크힐즈’ 아파트 공급이 계획돼 있어 눈길을 끈다.

‘게리슨 험프리스 파크힐즈’는 게리슨 험프리스 안정리 게이트에서 직주근접 위치로 도보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인근에 자리한 추팔산업단지가 가까워 출퇴근이 편리하다.


/김동호 기자 dongho@sedaily.com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