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단된 신한울 3·4호 재개, 원전생태계 되살려야"

■탈원전 2년의 그림자

두산重 올 원전공장 가동률 50%

한전·한수원은 부채 수조원 달해

경영위기 넘기려 눈물의 구조조정

업계·학회 모두 "신한울 결단을"

지난해 3월26일 아랍에미리트(UAE)를 공식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이 건설한 바라카 원전 1호기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해 3월26일 아랍에미리트(UAE)를 공식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이 건설한 바라카 원전 1호기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첫 원자력발전소 준공식이 6일 열렸지만 ‘탈원전 정책’ 2년 만에 한국의 원전 산업 생태계는 말 그대로 황폐화하고 있다. 중소업계는 물론 대학·지방자치단체 등이 신고리 원전 3·4호기 준공을 계기로 보류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에 실낱같은 희망을 품고 있다.

신규 원전 건설이 잇따라 중단되고 원전 가동률이 급락하면서 국내 최대 원전 기업인 두산중공업은 생사의 기로에 서 있다.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실이 지난 국정감사에서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두산중공업 원전사업 부문 공장 가동률은 올해 50% 수준에 불과한데, 건설계획상 마지막인 신고리 원전 5·6기 납품이 끝나가면서 내년부터 가동률은 10%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두중은 임원 수를 지난달 하순 또다시 20% 줄여 지난 2016년 120여명이던 임원 숫자가 3년 만에 절반도 안 되는 50명 정도로 급감하게 됐다. 두중 임원 수가 반토막 난 것은 그만큼 직원들의 구조조정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두중의 경영 위기는 460여개 중소 협력사와 이들이 고용 중인 3만여명의 직원들도 벼랑 끝으로 내몰면서 기업들이 몰려 있는 경남 창원과 인근 지역 경제에도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고 윤 의원은 지적했다.


원전을 운영하는 한국수력원자력과 원가가 낮은 원전 활용도가 급락해 경영 부담이 커진 한국전력은 부채가 조(兆) 단위로 급증하면서 수익은 적자로 전환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전은 탈원전 속에 연료비까지 늘면서 지난해 1조1,50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 6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한전 부채는 전년 대비 5조3,300억원이나 늘었고 주가는 2년 사이에 30% 넘게 추락해 주주들의 원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0715A02 원전업계 주요 기업 경영 악화 현황


한수원 역시 지난해 부채가 1조2,000억원가량 늘어난데다 당기순익은 9,600억원 감소했다. 실적 악화는 현재 진행형으로 한수원의 3·4분기 매출은 2조원 초반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한 데 이어 영업손실은 351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 5,300억원가량 흑자에서 적자로 바뀐 것이다.

원전 업계 기업들이 죽을 쑤고 종사자들은 구조조정 대상으로 전락하자 지난해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에 입학한 학생 다섯 명 가운데 한 명꼴로 자퇴할 만큼 원전 산업 생태계는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한수원은 이날 신고리 원전 3·4호기 준공을 통해 10조원 이상의 경제 파급효과와 3,000명 이상의 직접 고용 창출, 울주군·기장군 등에 매년 수십억원의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추가 원전 건설계획이 없어 빛이 바랬다.

업계와 학계, 지역주민들은 거의 유일한 활로로 중단된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 재개에 기대를 걸고 있다.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50년간 키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몇 안 되는 산업을 2년 만에 망가뜨렸다는 비판이 공감대를 형성하자 정부도 출구를 모색하는 움직임이 없지는 않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최근 기자와 만나 신한울 원전 3·4호기에 대해 “국회와 정부가 서로 합의만 하면 (상황이) 바뀔 수도 있다”면서 “(신한울 3·4호기) 발전허가는 살아 있고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도 여건이 바뀌면 변화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강조해 건설 재개의 문을 열어뒀다.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