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WSJ “美, 15일 對中 추가관세 연기 검토”…커들로 “관세, 아직 테이블에 있다”

미국과 중국 국기 뒤로 양국 화폐가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미국과 중국 국기 뒤로 양국 화폐가 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관세 연기를 검토하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미국의 추가관세 부과로 인해 미·중 무역전쟁이 전방위로 확전하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면서 1단계 미·중 무역협상을 이어가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다.


WSJ는 양국 협상 관계자들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면서 “미국이 오는 15일로 예정된 대중(對中) 추가관세 부과를 미루는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15일부터 1,650억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들에 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었다. 이 때문에 12월 15일은 미·중 1단계 무역합의를 도출하는 일종의 ‘데드라인’으로 여겨졌다.

앞서 미·중 당국자들은 무역협상의 인위적 데드라인이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무역협상과 관련해 “나는 데드라인이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추가관세 연기론이 나오는 것은 미·중이 당분간 무역협상을 이어가겠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된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결정이 내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낙관하는 분위기는 이르다는 주장도 나온다.

관련기사



WSJ는 과거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참모진의 조언을 무시하고 관세를 인상한 사례들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래리 커들로 위원장은 “아직 명확하게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커들로 위원장은 이날 WSJ 콘퍼런스에서 “12월 15일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은 여전히 테이블에 있다는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핵심 쟁점을 둘러싼 미·중 간 이견도 쉽게 좁혀지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 이슈가 쟁점인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연간 400억~500억 달러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약속하고 공개적으로 구매계획을 발표할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중국은 난색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기별로 중국의 농산물 구매 실적을 점검하겠다는 게 미국측 입장이지만,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어긋난다는 입장이라고 WSJ은 설명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