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한류열풍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문화교류가 증가하면서 각국의 문학작품이나 각종 영상물 등 다양한 분야와 장르에서 번역물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방송 분야의 경우, 방송 환경의 다매체 및 다채널에 시대에 걸맞게 해외 프로그램 송출을 위한 수입물이 늘어나고 있어 이에 따른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만화, 교육 등 해당 영상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는 곧 번역 업무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도 번역 시장을 전망했다.
특히, 번역가의 고용증감 부분에서는 문학작품 번역의 경우를 예로 들어 일반 번역과는 달리 전문적인 번역능력 및 수준이 요구되기 때문에 자동 번역기나 인공 지능 기술과는 별개로 꾸준한 수요가 예상되며, 전문 서류번역 역시 전문 용어의 사용이나 배경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경력번역가를 중심으로 번역가 수요는 유지될 것으로도 전망했다.
실제로 국내 번역 현장에서는 고용정보원의 예견대로 인공지능 번역기의 발전에 따른 번역물의 완성도가 높아지면서 경력이 없는 대다수의 번역가는 단순 번역이라 통용되는 일반 번역물조차도 구하기가 점차 힘들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단순 번역은 해당 업무의 담당자나 관련 실무자들에 의해 처리되고 있기 때문에 번역 경력이 없는 번역가들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고자 번역경력개발을 위하여 통번역대학원 등을 고려하기도 하고 일반 번역물로 번역 경력을 만들어 보려고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반 번역물로는 번역경력을 만들기가 어려울뿐더러 경력증명을 받기도 매우 어렵다. 번역 경력증명서에는 실무수행 경력을 증명할 수 있으며 실무 투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행기간, 수행분야, 수행언어, 수행분량, 번역료, 발급처 및 발주처가 명기되어야 번역 시장에서 인정되는 번역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번역 경력이 풍부한 번역가의 경우 국내 번역시장에서의 번역 전망이 매우 높은 산업번역 분야에서 주로 활동하게 된다. 산업번역이란 사회 발전에 따른 산업의 규모와 형태, 수준, 영역 등이 국제화, 고도화, 전문화되면서 번역의 수준과 질도 높아짐에 따라 정보통신, 기계, 전기, 화학, 의학, 의료, 자동차, 조선, 금융, 경영, 경제 등 국·내외 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다양한 제품의 생산 및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정보, 계약, 특허, 국·내외 규정 등의 번역 수행 시 단순히 기계적인 번역 수행이 아닌 기업과 상생할 수 있는 동반자 역할이 요구되기 때문에 산업분야 번역만큼은 수행경력과 번역능력을 갖춘 번역 경력자만이 가능하며, 이는 결코 기계번역으로 대체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