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삼성자산운용, ‘삼성 아시아퍼시픽리츠 펀드’ 출시

한국, 일본, 싱가폴, 호주, 홍콩 리츠 투자

연 평균 4% +α 수익률 추구...분산 효과도 기대

삼성자산운용은 19일, 국내를 포함해 일본, 호주, 싱가폴, 홍콩 등 아시아 5개국의 리츠(Real Estate Investment Trusts)에 분산투자하는 ‘삼성 아시아퍼시픽리츠 펀드’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펀드는 연 평균 4%대의 배당이 기대되는 아시아-태평양(Asia-Pacific) 국가들의 리츠 자산에 투자해 인컴 수익을 추구한다. 국가별 투자 비중은 일본(42.8%), 싱가폴(24.8%), 호주(22.0%), 홍콩 (5.6%), 한국(4.8%) 등이다. 한국 리츠는 2~3종목이 해당된다.


펀드를 운용하는 글로벌주식운용팀의 박용식 매니저는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 된 저금리와 통화완화 정책이 부동산 자산가치 상승과 배당의 매력도를 올리고 있다”며 “아시아태평양 지역 리츠의 높은 성장 잠재력에 대한 기대감이 이 펀드 출시의 배경” 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펀드의 핵심 운용전략은 안정적인 배당을 기반으로 한다. 펀드가 투자하는 싱가폴(5.2%), 호주(4.6%) 등의 리츠는 미국(3.7%), 영국(3.9%) 등 선진국 리츠보다 배당률이 높다. 해당 국가의 국채금리와 배당률의 차이(일드 스프레드)가 선진국 대비 크기 때문에 더 높은 배당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한편, 리츠 자산에 포함된 부채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양호한 재정 건전성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회사 측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리츠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한다. 국가 전체의 소득과 소비가 모두 증가 추세에 있기 때문에 상업시설과 같은 리테일 섹터의 리츠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도시화 속도도 빨라지면서 오피스, 주택, 상업시설 등 섹터의 리츠에 대한 전망도 밝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또한 많은 인구와 지정학적 이점을 활용해 아시아-퍼시픽 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한 무역거래가 증가하고 있어 글로벌 물류 허브로서의 관련 인프라 리츠 성장도 기대하고 있다. 박 매니저는 “이 펀드는 삼성자산운용의 홍콩 현지법인 리서치를 토대로 운용된다”면서 “국가 간의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보다 안정적인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