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쌍용차 노조의 고통분담을 주목한다

쌍용차(003620) 노조가 엊그제 상여금 200%와 생산격려금 등을 반납하고 연차지급률도 현행 150%에서 100%로 낮추는 내용의 경영쇄신안을 발표했다. 9월에는 명절 선물 중단과 장기근속자 포상 중단, 의료비·학자금 지원 축소 등 22개 복지 항목 조정에도 합의했다. 이번 쇄신안까지 포함하면 연간 1,000억원의 인건비를 아낄 수 있다고 한다.


쌍용차 노조가 이처럼 고통을 분담하면서 고강도 쇄신에 나선 것은 누적된 적자와 판매부진으로 생존 여부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쌍용차는 판매감소로 2017년 1·4분기 이후 11분기 연속 적자의 수렁에서 허우적대고 있다. 당장 내 손에 몇만원 더 쥐는 것보다 회사가 살아남아야 일자리를 지킬 수 있다는 절박함이 노조의 변화를 이끌어낸 것이다. 쌍용차 대주주인 마힌드라그룹은 경영 정상화를 위해 2,300억원을 직접 투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산업은행이 지원할 경우’라는 단서가 붙기는 했지만 그간 1,300억원 유상증자에 그쳤던 대주주의 변화는 ‘투자할 가치가 있는 회사’라는 확신을 갖게 됐다는 방증이다.

관련기사



쌍용차 노조의 고통분담은 산업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지만 다른 업체들은 여전히 구태를 벗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 르노삼성 노조는 임협에서 기본급 8% 인상, 임금피크제 폐지 등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자 파업하겠다며 으름장을 놓고 있다. 어렵게 ‘노사 상생 선언문’을 발표한 지 6개월 만에 파국 위기를 맞은 셈이다. 한국GM은 사측이 한시적 2교대를 제안했지만 정규직 근로자들이 이를 거부해 임시휴업까지 강행해야 할 판이다. 기아차(000270)는 더욱 가관이다. 노사가 극적으로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지만 노조 조합원들이 반대하자 부분파업에 돌입했다. 노조 스스로 동의했던 합의안이 조합원에 의해 부결된 난처한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파업을 택했다니 어처구니가 없지 않은가.

미래차의 등장으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급속히 바뀌고 있는 이때 과거의 낡은 관행에 얽매여 있으면 국내 업체들의 생존은 장담하기 어렵다. 자동차 노조는 당장의 이해관계에 연연할 것이 아니라 회사의 생존을 위한 생산성 향상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